백악관,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첫 브리핑서 중국에 남중국해·무역 경고

2017-01-24 15:16

23일(현지시간) 백악관 브리핑 룸에서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첫 공식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AP연합]


아주경제 윤세미 기자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 이후 첫 공식 브리핑을 통해 남중국해에서 국제적 이익을 보호할 것이며 무역은 ‘쌍방 통행’이 되어야 한다고 말하며 중국을 향해 경고했다. AFP 등 외신들은 중국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책을 신호하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23일(현지시간) 트럼프 취임 후 첫 공식 일일 브리핑에서 미국은 "남중국해에서 우리의 이익을 보호할 것”고 말했다.

23일 인준안이 최종 통과된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앞서 이보다 더 강력하게 중국을 비난한 바 있다. 그는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인공섬 건설을 두고 러시아의 불법적인 크림반도 병합과 다를 게 없다고 말했다. 또한 틸러슨은 백악관이 중국에게 남중국해 활동을 중단해야 하며 이 지역에 대한 접근을 불허한다는 ‘분명한 신호’를 보내야 한다며 한층 공세적 입장을 취했다. 

이후 중국은 남중국해에 대한 접근을 막을 경우 전쟁을 감수해야 한다고 경고해 양국간 갈등이 한층 고조되는 상황이었다.

스파이서 대변인은 23일 남중국해의 섬들은 “중국의 영유권이 아니라 공해상에 있다. 우리는 이 섬들이 한 국가에 점거되지 않도록 국제적 이익을 보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취할 구체적 조치에 관해서는 앞으로 대응책을 논의해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중국은 남중국해 대부분이 소위 ‘남해 9단선’ 안에 있다며 영유권을 주장해 주변국과 마찰을 빚고 있다. 앞서 오바마 행정부는 남중국해 문제를 둘러싸고 중립적인 자세로 국제법에 따라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취해왔다.

아울러 23일 스파이서 대변인은 무역과 관련해서도 트럼프가 강조했듯 현재의 시스템이 중국의 대미 수출에 유리하고 미국의 일자리를 빼앗아간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스파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시장에 미국 기업들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알고 있지만 현재의 무역 협상을 그대로 수용할 수 없다며 “현재 시스템은 쌍방 통행이 아니”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금융 기관들은 중국 진출이 제한되어 있고 미국 기업들이 중국에서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는 대선 기간부터 누누이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하고 대규모 무역 적자를 줄이기 위해 중국산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물리겠다고 주장해왔다. 일부 전문가들은 트럼프가 취임 직후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를 공식 선언하면서 보호무역주의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만큼 중국과의 무역 관계도 조만간 손질에 나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