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新시대] 김정식 연세대 교수 "미에 상호주의원칙으로 대응해야"

이미지 확대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트럼프식 보호무역에 대해 상호주의원칙을 내세워 전략적으로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트럼프식 보호무역에 대해 상호주의원칙을 내세워 전략적으로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아주경제 김정호 기자= "도널드 트럼프 신임 미국 대통령은 확대 재정에 따른 달러 강세로 무역적자를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트럼프는 사업가 출신이라 비즈니스에 소질이 있다. 스스로 무역적자를 초래하고도 교역 상대국에 책임을 떠넘기면서 자본시장을 더 열도록 할 것이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22일 아주경제와 만나 "확대재정과 달러 강세는 이율배반적"이라며 이렇게 전망했다.

새해에는 미국 금리가 더 오를 것으로 보인다. 달러가 강세, 원화는 약세를 보일 것으로 점쳐지는 이유다. 달러 강세가 되면 결국 미 무역적자는 확대된다. 미국 입장에서는 수입이 늘고,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 재정확대로 우리나라 수출이 늘더라도, 큰 재미를 보기는 쉽지 않다.


디지털캠프광고로고
김정식 교수는 "미국이 인프라 투자 확대를 예고했고, 우리나라가 기자재를 수출할 수 있는 부분은 기회"라며 "하지만 우리에게 여러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현재 대미무역 흑자가 200억 달러 이상으로, 미 무역촉진법(BHC법) 적용을 받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수 있다"며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을 높이거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다시 협상하도록 요구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미무역 흑자를 줄이려면 미국으로부터 더 사줄 수밖에 없다.

김정식 교수는 "이번에 미국에서 달걀을 들여온 것처럼 일부 품목 수입물량을 늘리거나 한국가스공사를 통해 셰일가스 수입을 확대해야 할 것"이라며 "대미무역 흑자를 200억 달러 미만으로 줄이는 게 필요하다"고 전했다.

큰 틀에서는 상호주의원칙으로 대응해야 한다.

김정식 교수는 "서비스 분야에서 미국이 우리로부터 돈을 가져가고, 한국은 상품시장에서만 번다"며 "현재 두 나라는 상호주의원칙에 맞게 무역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산 무기 수입까지 고려하면 한국이 반드시 미국으로부터 돈을 더 번다고 볼 수 없다"며 "미 보호무역 시도에 상호주의원칙을 내세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원·달러 환율은 1150원에서 1350원까지 큰 범위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전망에는 국내 정치 불안도 한몫하고 있다. 장기화되고 있는 대통령 탄핵 국면은 우리나라에서 자본 유출을 부추길 수 있는 요인이다.

김정식 교수는 "중국 위안화 환율은 올해 달러당 7.3위안까지 오를 것"이라며 "일본 엔화가치도 아베노믹스에 따라 약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로화는 달러화 대비 가치가 1대 1로 같아지는 '유로·달러 패리티(parity)' 또는 그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