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정부 지진대책 ​바닷속 활성단층도 조사해야"

2016-11-15 07:13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울산과 경주에서 강진이 발생한 데 이어 이번엔 충남 보령 내륙에서도 처음으로 규모 3.5의 지진이 관측되면서 지진 피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정부가 경주 지진을 계기로 내년부터 추진하기로 한 지진방재 종합대책에는 해저 단층조사가 제외돼 실효성에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확한 지진예측과 피해 최소화를 위해 바다 밑 지진 가능성을 반드시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KMI 동향분석' 보고서에서 15일 "해저단층 조사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활성단층은 육지에서 해양으로 이어진 경우가 많으므로 육상과 해양을 아우르는 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난 9월 경주에서 발생한 관측 사상 역대 최강인 규모 5.8의 강진은 양산단층대가 원인으로 지목됐다. 특히 양산단층이 거제 인근 해저까지 남북으로 이어진 거대한 활성단층이라는 연구결과도 잇따라 나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활성단층이란 지각활동이 활발해 지진이 발생했거나 일어날 가능성이 큰 곳을 말한다.

실제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고해상 탄성파 탐사를 이용한 한반도 연안의 신기 지진활동 분석' 연구를 통해 양산단층과 부산 지역의 일광단층은 해저 활성단층과 연결돼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해저지진 연구 권위자인 일본 도쿄대 박진오 교수도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양산단층이 동해와 남해로 향하고 있어 연장선이 해저에 분포할 가능성이 크고, 해저단층의 활동으로 쓰나미 발생 가능성도 크다"고 주장했다. 육지에서 바닷속까지 이어진 거대한 활성단층이 자리 잡고 있고, 이 때문에 육지뿐만 아니라 바다에서도 얼마든지 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해저지진은 단순히 땅이 흔들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쓰나미(지진해일) 등 추가 재해가 유발돼 육상 지진보다 더 막대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게 KMI의 주장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다. 당시 지진 여파로 초대형 쓰나미가 덮치면서 1만8000천여 명의 사망 및 실종자가 발생했고, 재산피해는 최소 16조 엔에 달했다. 역대급 피해를 남긴 1995년 한신·아와지(阪神·淡路) 대지진(사망 및 실종자 6400여 명, 재산피해 10조엔 추정)보다도 피해 규모가 훨씬 컸다.

우리나라의 경우 양산단층 주변 연안에 원전뿐만 아니라 해저케이블, 파이프라인 등 주요 시설이 밀집해 있어서 해저지진 발생 시 심각한 피해가 우려되지만, 해저단층에 관한 정보는 전무한 실정이라고 KMI는 지적했다.

지금까지 남동해안, 백령도 주변 등 일부 해역에서만 조사가 이뤄졌으며, 해양수산부가 일부 연안 해역에서 개략적인 지질위험요소를 조사하긴 한 게 사실상 전부다. 그마저도 올해 7월 울산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5.0의 해저지진은 해안에서 52㎞ 떨어진 곳에서 발생해 해수부가 수행한 조사범위(해안선으로부터 약 22)에서 벗어났다.

정부가 '9·12 경주 지진'을 계기로 부랴부랴 범정부 차원의 '지진방재 종합개선 기획단'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5년간 525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해 국토의 활성단층 조사를 추진하기로 했지만 여기에서도 해저단층에 대한 조사는 빠져있다. 일본, 미국 등은 정부 및 산하 기관 주도로 국토 및 해양에 걸친 활성단층 조사를 통해 활성단층지도를 제작하고, 주요 활성단층과 해저 활성단층 조사결과를 일반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전현주 KMI 연구원은 "일본의 경우 활성단층 지도에 따라 보험료가 달라지는 등 지역 맞춤형으로 지진에 철저하게 대비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최근 울산 앞바다 지진도 정확한 발생지점을 짚어내지 못하는 등 해저지진 발생 시 참고할 만한 원 데이터가 거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해저 조사의 경우 국토보다 조사가 까다롭고 예산도 많이 드는 만큼 국가 지원이 반드시 수반돼야 하고, 국토와 해양 조사가 동시에 이뤄져야만 더욱 확실한 지진 대비책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