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당선] 2000년 대선과 닮은꼴…클린턴 전체득표 앞서고도 패배

2016-11-10 13:40
선거제도 개혁 목소리 다시 부상…실제 변경 여부는 불투명

[사진=AP=연합뉴스]  AP통신 등에 따르면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가 승리한 전날 선거 방송의 시청자는 총 7천140만 명이었다. 지난 2008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당선된 대선 방송의 시청자 7천150만 명에 소폭 못 미치는 역대 2위 기록. 사진은 이날 뉴욕에서 트럼프 반대 시위에 등장한 트럼프 형상 허수아비.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2000년 대선 조지 W. 부시 미국 공화당 후보는 선거인단 271명을 확보해 대통령에 당선됐다. 그야말로 턱걸이 당선이다. 그나마 전체 득표 수에서도 당시 경쟁자였던 앨 고어 민주당 후보에게 뒤졌다. 공화당 후보였던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은 총 득표에서 47.9%를 얻으며 앨 고어의 48.4% 에 뒤쳐졌다.  

그러나 당시 25명의 선거인단이 걸려있던 경합주 플로리다 주에서 앨 고어가 537표 차이로 패배하면서 백악관은 부시에게 돌아갔다. 

16년 뒤 미국 대선판에서는 비슷한 일이 발생했다. 45대 대통령에 당선된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는 전체 득표에서는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에게는 밀렸다.

9일 (현지시간) 전국 개표율이 92%로 집계된 가운데 트럼프의 득표수는 5949만여표(47.5%)로, 클린턴가 확보한 5967만여표(47.7%)보다 약 21만표 적었다. 그러나 트럼프가 확보한 선거인단은 290명으로 과반인 270명을 훌쩍 넘어섰다. 클린턴이 확보한 228명에 비해 62명이나 앞선 것이다. 

이는 간접투표의 일종인 선거인단 제도라는 독특한 제도로 운영되는 미국의 대선 시스템 탓이다.
선거인단 간선제는 연방제인 미국의 전통을 반영한 제도로 연방헌법 2조1항에 명시돼 있으며, 작은 주의 목소리를 존중한다는 의미로 만들어진 것이다.

때문에 인구별이 아닌 주별 선거인단을 통해 민의를 반영하게 한 것이다. 총 538명의 선거인단 중 주별 선거에서 일반 유권자로부터 한 표라도 더 많이 얻은 후보가 그 주의 선거인단을 모두 가져간다는 승자독식제도 영향을 미쳤다. 때문에 경합지역에서 반드시 승리해야만 각 주의 선거인단을 모두 가져갈 수 있다. 1위와의 격차가 작다고 해도 소용없다. 

결국 클린턴도 이번에 최대 경합지로 꼽혔던 플로리다(29명), 펜실베이니아(20명), 오하이오(18명)를 내주면서 전체 득표에서 앞서고도 패배하게 됐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반발이 커지면서, 현행 제도가 전체 민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변화의 목소리가 계속 될 지는 불투명하다. 2000년 당시에도 선거결과에 불만을 가진 이들이 제도 개혁을 요구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흐지부지 됐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