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건전성 꼴찌 신협, 무리하게 대출 늘려…가계대출 22%, 중기대출 55%↑

2016-10-09 18:00

[사진제공=신협중앙회]

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 상호금융권에서 자산 건전성 꼴찌인 신협이 대출을 무리하게 늘리면서 가계부채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신협의 대출잔액은 올해 7월 현재 48조338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월 대출잔액은 40조4206억원으로 1년간 무려 7조9682억원(19.7%)나 증가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33.6%(36조2185억원)나 늘어난 것이다.

무엇보다 가계대출과 중기대출이 크게 늘었다. 가계대출은 7월 기준 33조3028억원으로 지난 1년간 6조282억원(22.1%)이나 증가했다. 비슷한 형태로 운영되는 새마을금고가 같은 기간 16% 늘어난 것에 비해 폭이 매우 크다. 

중기대출의 경우 지난 1년간 70%가 넘게 폭등했다. 실제 중기대출은 지난 1년간 2조3648억원 증가하며 전년 동기 대비(7월 기준) 71.6%나 급등했다.

문제는 중기대출에는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호대출이 포함돼 있어 보이지 않는 가계대출이라는 점이다.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들이 개인사업자 대출을 받아 생활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상호금융권의 경우 영세상공인, 농어민 등 소득증빙이 어려운 차주가 많다. 경기가 하락세에 접어들면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차주들이 늘어나는 이유다.

이처럼 신협의 대출잔액이 최근 몇 년간 폭등했지만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는 상호금융권 중 꼴찌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현재 고정이하여신비율 8%를 넘는 신협 조합은 직장신협과 단체신협을 포함해서 20곳이 넘는다. 일반적으로 고정이하여신비율이 8%가 넘는 곳은 안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조합 중 한 곳인 진해 성심신협은 2015년 말만 해도 고정이하여신비율이 5.22%였으나 올해 6월 현재 33.83%로 대폭 확대됐다.

고정이하여신에 대비해 쌓아둔 대손충당금 적립 잔액의 비율을 보면 신협의 경우 작년 말 기준으로 92%다. 올해 상반기에는 98.7%로 소폭 증가하긴 했으나 금융당국 최소 권고 기준인 100%를 못 넘고 있다. 새마을금고의 경우 현재 111%를 쌓고 있다. 

올해 상반기 연체율도 신협은 2.36%로 새마을금고(1.44%), 농협상호금융(1.50%) 보다 높다.

반면 순자본비율은 가장 낮다. 신협의 올해 상반기 순자본비율은 3.88%로 새마을금고(9.39%), 농협상호금융(8.73%), 수협상호금융(4.2%)에 비해 낮다. 


하지만 지난 6일 국회에서 금융위원회를 대상으로 열린 정무위 국감에서는 가계부채가 치솟고 있는데 금융당국이 신협의 대출 고삐를 풀어 가계 부채 문제를 확대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정무위 소속 국민의당 박선숙 의원은 당시 “예금자보호법의 적용을 안 받는 신협의 동일인 대출 한도와 건전성 비율을 완화시켰다”며 금융당국이 신협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신협을 포함한 상호금융권은 5000만원까지 예금자 보호를 해주는 예금자보호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한 조합에서 부실이 발생해 전체로 퍼져나갈 경우 수신 고객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는 의미다.

이와 관련, 업계 전문가들은 신협의 각 조합에 대한 감독이 미흡하다고 비판했다.

전국에 산재한 단위 신협은 현재 910개고, 조합원수는 총 5752명이지만 신협중앙회의 관리감독 인원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2013년 6월말 기준으로 70명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순회감독역을 도입하는 등 인력 수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지만 이 또한 역부족인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