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한 중국, '역직구'로 가자...위동페리, 칭다오서 한중교류 모색

2016-03-14 15:12
11번가, 아주경제 동방성 등 전자상거래업체, 물류업체 관계자 칭다오항으로

위동페리가 지난 5일부터 8일까지 한중 양국 역직구 등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교류의 자리를 마련했다. 행사에 참석한 한국 전자상거래 관계자들이 선상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위동페리 제공]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 한중 자유무역협정(FTA)가 발표되고 한국과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시점에 위동항운유한공사(이하 위동페리)가 한국 업계 관계자를 초청해 중국 칭다오항 물류 견학 프로그램을 마련해 주목된다. 한중 양국 관계자가 만나 유용한 정보를 교환하고 협력을 약속하는 장이 됐다는 평가다.

위동페리는 지난해 3월 19일 중국 최초 역직구 수입이 칭다오 항구를 통해 시작됐다는 사실에서 착안, 중국의 시장 상황과 물류사업 장애요인 등을 한국 전자상거래 업계 관계자가 직접 파악할 기회를 주고 한중 양국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자는 취지에서 지난 5일부터 8일까지 나흘간 견학 프로그램을 추진했다. 위동페리는 한중 최초 카페리 운행을 실시하는 등 한중 교류의 교량 역할을 하고 있는 전통있는 해운업체다. 

이번 행사에는 11번가, 인터파크, 위메프, 신세계이마트, CJ오쇼핑, 아주경제 동방성 등 10여개 한국 전자상거래 업체와 한진택배, CJ대한통운, 스타리온글로벌, 중원GLS, 스마트싱크, 승승해운항공, 유니코항운 등 물류회사 업계자가 참석했다.

이들은 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카페리 중 최대규모인 3만t급 NG/B V”호에 승선해 칭다오로 향했으며 칭다오항 도착 후에는 선적 화물이 현지 해관 지정 보세창고인 지모(卽墨)시 화준(華俊)물류원으로 수송, 통관되는 전 과정을 직접 확인했다.

칭다오 해관 물류부문 책임자는 "오는 4월 8일 중국 해관총서가 발표할 '해외 전자상거래 시범 플랫폼 수입세관 신(新)세수정책'에서 행우세(수하물 우편세)의 면세한도 폐지, 증치세와 소비세 30% 인하 등에 따라 세율이 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공안을 통한 개인인증 절차가 금융권 개인인증으로 변경되고 다소 진입 문턱이 높았던 화장품의 수입이 허용되고 B2C로 제한됐던 칭다오항 거래가 B2B, B2C로 확대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한국 전자상거래, 물류업체, 중국 칭다오항 현지 관계자들이 모여 중국 역직구 시장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했다. [사진=위동페리 제공]


칭다오항 통관 및 물류 프로세스 견학 현장에는 지모시 손밍밍(孫明明) 부시장, 칭다오 해관, 칭다오 검역국, 지모시 상무국, 화준물류원 관계자는 물론 칭다오 코트라 무역관장 등이 참석했으며 한국 관계자와의 질의 응답을 통해 각종 정보를 공유하는 소통의 시간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