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전력 시장 자유화 앞두고 신·구 경쟁 가속화

2016-03-02 10:52
신규업체 등록 잇따라...새로운 요금제 등록만 23만 건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일본에서는 4월 1일부터 전력 판매 시장이 전면 개방된다. 신규 사업자 등록 건수가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기존 전력회사들도 생존 전략을 수정하는 등 에너지 산업에 지각 변동이 예상된다.

도쿄IT신문, 교도통신 등 현지 언론이 2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전력 판매 자유화를 앞두고 시장에 진입하려는 신규 기업의 등록 건수가 늘고 있다.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2월 23일 현재 199개 업체가 전력 소매업 관련 등록을 마쳤다. 가스나 석유 판매 같은 에너지 업종뿐만 아니라 휴대폰이나 케이블TV 등의 부문에서도 추가 등록이 늘고 있는 추세다.

일본에서는 지난 1990년대 초반부터 전력 판매 자유화가 추진돼 왔다. 도쿄전력 등 10개 대형 회사가 독점적으로 전력을 공급해온 탓에 다른 국가보다 요금이 비싸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일본 정부는 전력 시장이 개방되면 전력회사 간 경쟁을 통해 서비스 수준은 높이고 요금 부담은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장 개방에 따라 일반 가정 등 소비자 입장에서는 전기를 어느 회사에서 구입할지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다양한 기업들이 요금과 서비스 면에서 또 다른 경쟁을 하게 된 셈이다. 이들 기업들이 제출한 새로운 요금제도 신청 건수는 현재까지 약 23만 건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기존 전력회사들의 생존 전략도 달라지고 있다. 일부 지역에만 국한돼 왔던 사업 영역의 족쇄가 풀린 만큼 관할 지역을 넘어 타 지역권으로의 진출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는 지방 전력회사들도 기지개를 켤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온다.

다만 신재생 에너지 분야는 기존 화력 발전보다 부지 확보, 설비 증축 등 투자 비용이 많이 든다. 비용 부담 때문에 신규 전력 기업들이 신재생 에너지 활용을 꺼리면 자유화 도입에 의미가 흐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 신규 등록한 업체들이 대부분 수도권에 몰려 있어 지방 소비자들은 전력 판매 자유화 제도의 혜택을 접하기 힘들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