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트리피케이션을 막아라-중] 민관 공감대 형성해 젠트리피케이션 극복…'파리·런던·몬트리올' 살펴보니

2016-02-22 15:48
파리 '보호 상업가' 지정…소상공인과 골목상권 보호에 주력
런던, 쇼디치 문화예술지역에 새로운 IT산업 유입
몬트리올, 사회적 기업 직접 작업실 구입해 예술가 지원

▲'젠트리피케이션' 용어는 1964년 영국의 사회학자 루스 글래스가 1960년 런던에서 북쪽으로 2마일 정도 떨어진 번즈베리 지역의 변화를 연구하면서 창안됐다. 사진은 프랑스 파리 도시 전경. 사진=아이클릭아트 제공

아주경제 최수연·백현철 기자 = 프랑스 파리나 영국의 런던 등 우리보다 먼저 산업화 된 유럽 선진국들도 과거에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경험했다. 이들은 예술가와 영세상인들이 주체가 돼 도시개발 과정에 적극 개입하는 등 민관 공생 모델을 만들어 위기를 극복했다는 공통점을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22일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파리는 1970년대까지 도시발전의 일환으로 대규모 상가를 장려했다. 이에 따라 대규모 자본이 투입돼 상업시설을 점령하고 소규모 상점들이 사라지면서 골목상권이 위기를 맞았다. 현재 우리나라의 젠트리피케이션과 유사한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이에 파리는 2006년 파리도시계획을 수립, 보호조치가 필요한 특정 가로를 '보호 상업가로'로 지정했다. 보호상업가로는 파리시의 도로 전체 길이의 16%에 해당하며 총 3만여개에 이르는 상업시설을 포함한다. 보호상업가로 지정되면 건물 1층에 입점한 기존 소매상업과 수공업 시설은 다른 용도로 전환할 수 없었다. 

파리는 이와 함께 골목상권을 보호하기 위해 2004년부터 비탈 카르티에(생기있는 거리) 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시로부터 도시정비사업을 위임받은 세마에스트(파리동부도시계획합동경제협회)가 총 11개의 사업지구에 있는 건물 1층 상점과 토지에 대한 선매권을 위임받아 진행됐다. 세마에스트는 보호상업가로 내에 비어 있거나 팔기 위해 내놓은 상가를 매입해 일상생활에서 필요하나 경쟁력이 약한 업종 위주로 지역 소상공인과 수공업자들에게 저렴한 가격에 임대했다. 이 사업을 위해 파리시는 당시 우리돈으로 약 1218억원(8700만 유로)을 투입했다.  

런던 북부 쇼디치 지역은 1980년대 말부터 젊은 예술가와 디자이너들이 유입되면서 문화예술지역으로 발전했으나 지역 사회 주도의 재생사업이 활성화되면서 오히려 임대료가 높아져 기존 이민자들은 이를 감당할 수 없어 외부지역으로 떠나갔다. 정부는 2012년 이 지역 특색을 살리기 위해 화이트 큐브(White Cube), 리빙턴 플레이스(Rivington Place) 등 랜드마크 건물을 지으며 문화예술 지역으로 특화시켰다. 

이와 함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한 벤처 회사들이 다시 쇼디치 지역에 몰려들었으며 해당 자치구는 IT 회사들이 지역 특색과 어울릴 수 있도록 축제를 여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캐나다 몬트리올시 마일엔드(Mile End)는 섬유산업의 쇠퇴로 공장 건물이 비게 됐고 낮은 임대료로 캐나다 전역에서 많은 예술가들이 몰려들었다. 하지만 2008년 1월 몬트리올 시가 도시 재생을 위해 마일엔드를 포함한 생비아퇴르 동부 지역에 9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하면서 이 지역의 집세가 오르기 시작했다.

예술가들이 마련한 대안은 주택협동조합을 구성해 주거 공용 작업실을 배당한 것이었다. 회원에게는 적절한 가격의 임대료를 책정해 공간을 배당하며 공동 운영 체제를 취하게 하는 일종의 집단 기업의 형태다. 예술가들과 시민들로 구성된 '몬트리올 크리에이티브 아틀리에(ACM)'은 몬트리올에서 총 230개의 작업실과 650명의 예술가를 지원하고 있다.

맹다미 서울연구원 박사는 "해외 도시의 공공부문이 젠트리피케이션에 대응하는 중점 전략은 지역이 지닌 특성을 파악하고 지역이 나아가야 할 미래상을 제시하는 등 공론화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부동산 소유자, 상가·주거 세입자, 시 정부 등 해당 지역의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이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