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취업자 34만7000명↑…청년실업률 올 들어 최저(종합2보)

2015-10-14 09:26

[그래픽 = 통계청]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9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이 30만명대를 넘어섰다.

특히 청년층 고용은 늘어나고 실업률이 떨어지는 등 청년고용 상황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취업자 수는 2626만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4만7000명 증가했다.

올 4월 20만 명대로 내려앉았던 취업자 증가 폭은 5월(37만9000명) 이후 3개월 연속 30만 명대를 기록했다.

8월(25만6000명)에 다시 20만 명대로 주저앉았다가 9월 들어 30만 명대를 회복했다.

경제활동인구가 작년보다 36만3000명 늘어나면서 고용률은 60.9%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1%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1.7%로 작년 같은 달보다 1.0%포인트 올라갔다.

전체 실업률은 3.2%로 작년과 동일했다.

청년 실업률은 7.9%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6%포인트 하락했다. 전월에 비해서는 0.1%포인트 하락해 올 들어 최저를 기록했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도소매 취업자 수의 감소폭이 축소돼 전체 취업자 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면서 "청년실업률이 떨어진 반면 청년고용률은 상승한 게 특징"이라고 말했다.

9월의 청년(15∼29세) 실업자 수는 34만10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만8000명 줄었다.

청년 취업자 수는 395만6000명으로 파악됐다.

교육수준별 실업자 추이를 보면 대졸 이상(8000명, 2.2%↑), 중졸 이하(1만5000명, 16.8%)는 증가했지만 고졸(7000명, 1.9%↓)에선 감소했다.

대졸자 실업률은 3.2%로 집계됐다.

산업별로는 제조업(3.8%),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10.1%) 부문에서 취업자 증가세가 이어졌다.

숙박 및 음식점업(3.8%),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11.3%) 부문에서도 늘었다.

부동산업 및 임대업(3.2%)도 증가세가 이어졌다.

도매 및 소매업(-1.2%), 농림어업(-7.5%), 금윰 및 보험업(-4.5%) 등은 줄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599만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6000명(0.9%) 증가했다.

취업준비생은 62만2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7만1000명(12.9%)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48만8000명으로 올 8월의 53만9000명보다 줄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감안한 체감실업률은 10.8%를 나타냈다.

김진명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코리아그랜드세일 등에 힘입은 경기개선 흐름 지속, 기저효과 완화 등이 전반적인 고용증가세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재정보강 조기집행 등 내수활성화 노력을 강화하고 노동개혁 등 4대부문 구조개혁 가속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