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도발에 경제팀 '비상'…휴일 비상체제 유지

2015-08-23 14:59
남북 고위급 대화 진행에 따른 모든 변수에 대응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정부가 북한 포격 사태에 따른 한국 경제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남북한 고위급 대화의 진행에 따른 모든 변수에 대응하기 위해 휴일에도 비상체제를 유지하고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는 모습이다.

정부는 지난 21일 주형환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긴급거시경제금융회의, 22일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긴급 간부회의를 연 데 이어 일요일인 23일에도 비상근무체제를 유지했다.

정부가 그간 내성이 생긴 북한 리스크에도 연이어 대책회의를 갖는 것은 현재 한반도 상황이 이전과는 대조적인 모습으로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1993년 북한의 노동 1호 미사일 발사 때부터 2011년 김정일 사망 등 주요 대북 리스크가 돌출할 때마다 주식시장은 단기간 영향을 받긴 했지만, 곧바로 회복세로 돌아섰다.

외환시장에서도 즉각적으론 원/달러 환율이 소폭 오르는 등 급격한 변동 장세가 연출되지 않았다.

초기에 부정적 영향이 있기는 했지만 이내 안정을 되찾는 모습이 반복된 것이다.

그러나 주식시장과 외환시장 반응은 과거 남북 간 긴장관계가 조성됐을 때보다 훨씬 민감했다.

지난 21일 코스피는 전날보다 38.48포인트(2.01%) 내린 1876.07로 마감, 2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코스닥지수는 29.66포인트(4.52%) 내린 627.05로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 역시 달러당 전일 종가보다 9.9원 급등한 1195.0원으로 마감해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1년 9월 26일(종가 1,195.8원) 이후 약 3년11개월 만의 최고치이기도 하다.

중국 위안화 절하 문제를 넘기며 한숨 돌렸던 정부로서는 이번 북한 도발로 금융시장이 요동치는 것이 뼈아픈 실정이다.

아직 실물경제 지표는 별다른 영향이 없지만 금융시장의 불안이 실물경제로 옮겨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에 기재부는 금융시장 불안이 대북 리스크와 대외 요인들이 겹쳐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투자심리를 안정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해 나가기로 했다.

우선 외국인 투자자, 외국 언론매체, 국제 신용평가사에 정확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면서 시장 불안이 커지면 필요한 경우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북한의 포격 도발 이후 정부는 한국은행·금융위원회 등 관계기관과 합동 상황점검반을 구성해 외국인 자금 유출입,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 소비·수출입 등 실물지표 동향을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로 전환했다.

기재부는 23일 오후 재개되는 고위급 대화 결과에 따라 북한 리스크의 완화 정도가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경제 당국은 고위급 대화로 북한 리스크가 완화되면 노동시장 등 4개 부문 구조개혁 과제에 다시 집중하고 소비 진작 등 경제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정부는 오는 26일까지 한국노총의 노사정 대화 복귀가 이뤄지지 않으면 정부 주도의 노동개혁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워 놓고 있다.

정부는 또 26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소비진작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