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자원외교 핵심 에너지공기업 해외자산 줄매각
2014-11-02 17:00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과거 MB정부 시절 해외자원개발에 앞장섰던 주요 에너지공기업들이 6조 규모의 해외자산을 매각한다. 당시 무리한 해외자원투자로 부채증가 등 지금의 경영악화가 이어졌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현재 경제성에만 입각해 해외사업을 매각할 경우 지분을 헐값에 넘길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석유공사, 광물자원공사, 가스공사 등 해외자원개발 주요 에너지공기업들이 오는 2017년까지 총 6조3000억원의 해외투자자산을 매각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에너지공기업은 박근혜정부의 공기업 정상화지침에 따라 올해 2~5월 사이 부채감축계획안을 기재부에 제출했다. 계획안에는 성과가 부진한 해외사업들의 자산을 매각하는 것에 대한 내용도 담겨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석유공사는 2017년까지 2조7003억원의 해외자산을 매각하기로 했으며, 한전 1조4294억원, 광물자원공사 1조4000억원, 가스공사 5880억원, 한수원 1435억원, 석탄공사 111억원 순이었다.
해외자산 매각 비중이 큰 석유공사와 가스공사의 경우 자산명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지 않지만, 내부적으로는 구체적인 계획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의 경우 유연탄 및 우라늄 해외사업 지분을 매각하겠다고 밝혔고, 광물자원공사는 투자비가 과중하고 성과가 부진한 광물사업을 정리할 계획이다.
한수원은 해외우라늄 개발사업을 매각하기로 했으며, 석탄공사는 몽골 홋고르 탄광지분을 매각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에너지 공기업들이 해외 사업을 줄줄이 정리하는 가장 큰 이유는 부채급증에 따른 경영악화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MB정부의 자원외교에 힘입어 자원개발을 의욕적으로 추진했지만, 부채만 눈덩이처럼 불어 지금의 '부실공기업'이라는 오명을 얻었기 때문이다.
실제 석유공사, 가스공사, 광물자원공사는 2008년 이후 자원개발 부문 금융부채만 2006년 1조8000억원에서 2012년 12조4000억원으로 7배 가까이 늘어났다. 여기에 현 정부가 해외자원개발에 대한 재무구조 개선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는 것이 한 몫 더해졌다는 게 업계의 전반적인 시각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석유공사의 '하베스트 날(NARL)' 사업처럼 관련 지분을 헐값에 매각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하베스트사업은 총 37억달러의 투자금이 들어갔지만 현재까지 2900억원, 날은 1조4300억원 정도의 손실이 발생한 상태다.
아울러 중장기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해외자원개발 사업이 정부의 입맛에 따라 좌지우지되고 있다는 지적의 목소리도 나왔다.
업계 고위 관계자는 "해외자원개발 사업이 성과가 나기 위해서는 최소 10여년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체계적인 수익 전망도 없이 해외자원개발을 무작정 축소하는 것이 답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