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은 총재 "성장잠재력 확충하려면 소득 불평등 완화해야"

2014-06-15 12:00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사진 제공= 한국은행]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13일 성장잠재력을 키우기 위한 방안으로 소득불평등 해소를 언급했다.

이날 중구 소공동에 위치한 한은 본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과의 만찬 간담회에서 이 총재는 "소득불평등을 해소하는 것이 소비 차원에서 유효수요를 좀 더 높이는 쪽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성장잠재력 확충 차원에서 내수 기반을 확충하려면 불평등의 정도를 줄이는 것이 좋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그는 지난해 읽은 기사를 인용해 "불평등이 심화되고 저소득층이 증가하면 양질의 교육을 받을 기회가 줄어들면서 장기적으로 인적 자원 양성에 걸림돌이 된다"면서 불평등을 완화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취임 후 조사국과 경제연구원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연구를 당부했다고도 밝혔다.

경기부양을 위해 금리 외 다른 정책수단을 사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보다 구체적 견해를 밝혔다. 전날 그는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지급준비율과 공개시장조작을 경기 대응용 카드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이 총재는 "지준율 인하는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효과를 크게 기대하기 어렵고 은행의 수지 보전에 그칠 것 같아 적절치 않다고 본다"면서 대출정책 역시 금융중개지원대출(옛 총액한도대출)을 언급하면서 지금도 보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상황을 지켜보고 결정할 일이지만 염두에 두고 항상 필요할 때 쓸 수 있도록 (수단을) 준비해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재부와의 협업에 대해선 "기재부와 중앙은행이 서로의 역할을 존중해 주면서 경제의 흐름에 관한 인식은 간극을 줄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한 관계"라며 원론적 수준의 답변을 내놨다.

소통의 어려움도 토로했다. 

앞서 이 총재는 "경제성장률을 4%로 놓고 내년도 그렇게 간다고 보면 금리 방향 자체는 인하로 보기 어렵지 않겠는가"라고 말한 바 있다. 이에 시장에서는 금리 인상 시점이 당겨졌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하지만 이 총재는 이날 "(경기가)잠재성장률 수준 이상의 회복세를 보인다면 그런 전제 하에서는 금리를 올리는 것이 타당하다고 얘기했는데 시장에서 이를 하나의 시그널(신호)로 받아들였다"면서 "시기를 염두에 둔 것은 정말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은은 18일 국실장 정기인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 총재는 "대부분의 국실장들이 2~3년간 재직했기 때문에 누적된 업무능력과 관리능력에 대한 평가가 객관적으로 나와 있으므로 그것을 중시할 것"이라며 인사 기준으로 업무능력과 평판을 꼽았다. 또 "전체적인 경제를 보는 눈이나 정책을 수립하는 역량을 키우는 차원에서 2~3년이 지나면 순환보직을 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일각에서는 박원식 전 부총재의 조기 사퇴에 따라 현 부총재보들의 중도 사퇴 가능성도 거론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총재는 이날 "임기를 지키는 것은 본인이 판단하는 것"이라며 "제가 부총재보들한테 임기 전에 나가라고 하지는 않을 것"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