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정로 칼럼> 국내 전기차 보급, 활성화될 것인가?

2013-08-21 14:14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올해 대표적인 친환경차인 전기차 보급에 청신호가 켜지고 있다. 지금까지는 관공서나 지자체용으로 극히 일부만 보급됐지만, 올 들어 확실한 변화가 일고 있다. 국내 메이커는 물론 해외 메이커에서도 전기차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고 민간 보급형 모델을 출시했거나 서두르고 있는 형국이다.

전기차는 기존 내연기관차를 대신하기보다는 새로운 에너지원을 가진 이동수단이 하나 더 추가돼 풍부함을 더하고 도심지나 단거리용 등 틈새를 찾는 수단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향후 거세지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환경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수단 확보라는 의미도 있다.

국제 환경 규제에 이산화탄소나 연비규제가 강화되면서 전기차는 전체적인 조건을 맞추는데 중심이 될 수 있는 수단이라는 것이다. 특히 1가구 2차량 시대에 두 번째 차량은 전기차라는 공식을 이룬다면 가장 이상적인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제주도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민간용 전기차 보급을 성공적으로 첫 단추를 매는 성과는 이뤘다. 200대에 못 미치는 보급이었으나 지원자가 3배에 이를 정도로 응모자가 많아 좋은 시작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올 하반기 출시되는 국산 전기차 두 종을 포함하여 세 종이 경합하는 단계에서 정부가 1500만원, 제주도가 800만원, 세제 혜택 등 300만원 정도가 지원되어 민간 입장에서는 2000만원 미만으로 구입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제주도는 충전 인프라가 전국에서 가장 잘 구성되어 운행하기에도 가장 적절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지자체의 열성적인 보급 노력과 제주도라는 특수성, 메이커의 적극적인 보급노력 등 다양한 장점으로 좋은 첫 단추가 매진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내년에는 BMW i3 등 세계적 관심사가 높은 전기차가 국내에 판매된다.

이에 따른 제대로 된 조치가 중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이다. 내년에는 훨씬 높은 보조금을 확보해 확실한 자리매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동시에 대도시를 중심으로 또 하나의 조건인 충전 인프라의 확보도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이다. 특히 지자체가 더 좋은 보조금을 내 걸어 소비자의 입맛을 끌어들이는 역할이 필요하다.

역시 정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예산 확보는 한계가 있는 만큼 전기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운행상의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다. 대도시 내에서 1차선 버스 전용차선을 이용하게 한다든지 도심지 특별 주차조건을 준다든 지 등 세수는 확보하면서 비용은 들지 않는 좋은 방법이 얼마든지 있다.

국민적 홍보와 캠페인도 중요할 것이다. 아직 전기차의 필요성이 약한 만큼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질 수 있는 적극적인 홍보노력이 필요하다. 향후 세제 부분도 탄소세나 환경세 분야가 강화되는 만큼 전기차의 필요성과 상대적 장점을 더욱 만들어 보급의 흐름을 활성화해야 한다. 동시에 전기차 중견 전문기업 양성을 위한 연구개발 개념의 프로젝트가 다양하게 만들어야 한다. 메이커의 역할과 중소기업의 역할이 다른 만큼 실질적인 역할 분담을 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중요할 것이다.

신정부가 들어서면서 첫해인 만큼 현재의 전기차의 흐름이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는 데 중요한 역할이 되었으면 한다. 동시에 우리의 전기차 등 친환경차 경쟁력이 세계적인 수준이 될 수 있는 단초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