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인사 "인플레 2% 근접해도 금리 인하 가능성 낮아"

2025-02-07 11:07
  • 글자크기 설정

'중도성향' 댈러스 연은 총재, 추가 금리인하 필요성에 회의적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2024년 12월 18일 미국 워싱턴에서 이틀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금리 정책 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고 발표한 기자회견에서 연설한 후 퇴장 로이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로리 로건 미국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계속 둔화하더라도 추가로 기준금리를 내릴 필요성이 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미 중립 금리 수준에 근접한 만큼 금리인하 여지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중립 금리는 인플레이션을 가속하지 않으면서도 고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질 금리 수준을 말한다.

로건 총재는 6일(현지시간)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행사를 위해 사전 배포한 연설문에서 "앞으로 몇 개월 내 인플레이션이 2%에 근접한다면 어떨까?"라는 물음을 던진 뒤 "좋은 소식이겠지만 내 생각에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곧 금리를 내릴 것 같지는 않다"고 했다.
로건 총재는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 중도 성향 인사로 평가받는다. 그는 강력한 수요와 안정적인 노동시장 환경 아래 연준의 목표에 다가가는 인플레이션은 기준금리가 중립 수준에 근접했음을 강력히 시사할 수 있다면서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단기적으로 금리인하 여지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만일 노동시장 또는 수요가 추가로 더 둔화한다면 금리를 내릴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로건 총재는 "정부 정책 변화가 진행되고 있고, 그로 인한 무역 패턴의 변화는 경제 활동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연준 인사들은 이러한 변화가 인플레이션과 고용 전망, 자본 흐름에 의미하는 바를 분석해야 한다"고 했다.

반면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재정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더 적은 금리인하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도 여전히 향후 18개월 내 몇 차례의 추가 금리인하를 예상한다고 밝혔다.

굴스비 총재는 미국 경제가 직면한 정책적 및 다른 요인에 의한 불확실성을 언급하고 "우리가 궁극적으로 도달할 곳은 지금보다 상당히 낮다고 생각하지만, 이런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에 거기에 도달하는 속도는 더 낮아졌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