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 따르면 스마트도시 인증은 지자체의 스마트 역량을 진단하고 우수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국토부가 2021년부터 시작한 사업으로 올해는 확산성과가 높은 교통분야 서비스를 대상으로 인증심사를 실시해 인증을 신청한 24곳의 지자체 중 시를 비롯한 4곳의 대도시와 5곳의 중소도시를 선정했다.
건교부는 스마트도시 성과를 △혁신성 △거버넌스 및 제도적 환경 △서비스 및 기술 측면의 56개 정량지표와 5단계 정성지표를 측정해 평가했다.
시는 ‘스마트 시티 통합운영센터’ 등 우수한 기반시설을 갖췄다는 점과 방재‧환경‧방범 등 다양한 공공 도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도시(인구 50만 이상)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는 올해 초부터 스마트도시 국가인증 준비를 위해 2021년 도시 인증을 받은 타 지자체 사례 분석을 시작으로 2024 인천시 스마트도시계획 (2020~2024 중장기계획)에 따른 스마트도시 수준에 대한 자체분석을 실시했다.
시는 또한 국가지원, 성과평과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도시의 객관적 지표 및 수준진단 필요성 증대에 따라 스마트시티 통합 운영센터, 디지털 트윈, XR메타버스 사업 등을 포함한 22개 우수 서비스와 스마트기술 및 인프라 현황 관련 평가자료를 16개 기관 33개 부서와 함께 준비해 왔다.
김지영 시 스마트도시담당관은 인천의 스마트도시 수준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그간 쌓아온 스마트 역량을 바탕으로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를 발굴하고 원도심 중심의 스마트사업 활성화를 통해 스마트 균형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