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양자기술 분야 연구개발 예산으로 699억원이 편성됐다. 내년부터는 국내 양자컴퓨팅 시스템 구축과 양자인터넷 원천기술 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16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양자기술특별위원회(양자특위)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최근 미국과 중국이 첨단기술 분야에서 기술패권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우방국 중심의 기술 결속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자기술, 인공지능(AI), 차세대 통신(5G·6G) 등 첨단 전략기술이 주요 기술협력의제로 논의됐으며, 관계부처 합동으로 첨단전략기술 선정과 관련 법 제정을 추진하는 등 기술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설된 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양자특위는 선도국과 기술격차가 큰 양자기술의 경제·산업·안보적 활용에 대한 밑그림을 그려나가는 민·관 합동 위원회다. 여기에는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양자센서, 양자 기초·기반 4개 분야의 민간 전문가 11명과 과기정통부, 산업부, 중기부, 국방부, 방사청, 국정원 등 6개 부처 정부위원을 포함하여 총 19명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또한, 안건의 심층적 검토를 위해 다양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실무위원회를 운영하고, 해외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재외과학자]도 특별자문으로 참여한다.
국내 양자기술 수준은 양자기술은 최선도국 대비 81.3%, 특히, 양자컴퓨팅 기술은 71.8% 수준으로 다른 ICT 기술(이동통신 97.8%, 인공지능 87.4%, 2019 ICT 기술수준조사)대비 낮아 기술 격차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도 양자기술 분야 R&D 예산으로 699억원(정부안, 전용사업 기준)을 편성했으며, 이는 작년(328억원) 대비 2배를 넘는 수준이다. 내년부터 국내 양자컴퓨팅 시스템 구축, 양자인터넷 원천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또한 양자센서와 국방용 원격·정밀 탐지기술을 개발하고,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로 양자기술분야 국제 공동연구와 인력교류도 확대한다.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양자기술은 우리 미래 산업·안보의 판도를 바꿔 놓은 파괴적 혁신기술이며, 투자 전략도 과거와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며, "양자기술 유망 분야를 폭넓게 지원하고, 가능성이 보이는 기술에 대해 선택과 집중을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 기술개발 이후 산업화를 추진하는 단선적 발전전략이 아니라, 기술개발과 산업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나선형 발전전략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16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양자기술특별위원회(양자특위)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최근 미국과 중국이 첨단기술 분야에서 기술패권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우방국 중심의 기술 결속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자기술, 인공지능(AI), 차세대 통신(5G·6G) 등 첨단 전략기술이 주요 기술협력의제로 논의됐으며, 관계부처 합동으로 첨단전략기술 선정과 관련 법 제정을 추진하는 등 기술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설된 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양자특위는 선도국과 기술격차가 큰 양자기술의 경제·산업·안보적 활용에 대한 밑그림을 그려나가는 민·관 합동 위원회다. 여기에는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양자센서, 양자 기초·기반 4개 분야의 민간 전문가 11명과 과기정통부, 산업부, 중기부, 국방부, 방사청, 국정원 등 6개 부처 정부위원을 포함하여 총 19명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또한, 안건의 심층적 검토를 위해 다양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실무위원회를 운영하고, 해외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재외과학자]도 특별자문으로 참여한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도 양자기술 분야 R&D 예산으로 699억원(정부안, 전용사업 기준)을 편성했으며, 이는 작년(328억원) 대비 2배를 넘는 수준이다. 내년부터 국내 양자컴퓨팅 시스템 구축, 양자인터넷 원천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또한 양자센서와 국방용 원격·정밀 탐지기술을 개발하고,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로 양자기술분야 국제 공동연구와 인력교류도 확대한다.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양자기술은 우리 미래 산업·안보의 판도를 바꿔 놓은 파괴적 혁신기술이며, 투자 전략도 과거와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며, "양자기술 유망 분야를 폭넓게 지원하고, 가능성이 보이는 기술에 대해 선택과 집중을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 기술개발 이후 산업화를 추진하는 단선적 발전전략이 아니라, 기술개발과 산업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나선형 발전전략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