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올해 신경정신과를 찾는 이들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입시 관련 업종이나 테마파크·레저, 숙박업소 등의 업종 또한 1차 유행기에 비해 매출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16일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의 '코로나19가 가져온 소비 행태의 변화Ⅱ'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소는 하나카드 매출 데이터를 3월 1차 유행기와 9월 2차 유행기로 구분해 9개 대분류, 230개 소분류로 분석해 업종별로 비교했다.
이 중 의료·보건업종의 경우 세부업종별로 매출액 차별화가 가장 두드러졌다. 신경정신과는 올해 1~10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 늘어났다. 장기간 지속되는 코로나19로 인해 사모임이 줄어들고 야외 활동에 제약이 생기면서, 정신적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환자가 증가한 데 따른 영향으로 연구소 측은 분석했다.
성형외과(10%), 안과(24%), 피부과(10%)도 안정적인 매출을 보였다. 반면 이비인후과(-11%)와 소아과(-10%), 종합병원(-6%), 한의원(-2%) 등은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반적인 매출 수준은 5월까지의 마이너스 성장에서 벗어나 10월 누적으로 1.1% 증가하는 등 미세한 회복세를 보였다. 다만 업종별로 1차 유행기와 2차 유행기의 소비 회복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성인오락실(-89%)과 노래방(-72%), 유흥주점(-65%) 등 유흥시설은 9월 들어 지난해에 비해 매출 감소폭이 컸다. 예술품 및 시계·귀금속 등 사치품 관련 업종도 매출 감소가 두드러졌다.
반면 예체능학원(137%), 테마파크(121%) 등 입시 관련이나 여행·레저 업종은 작년 대비 매출이 확대됐다. 1차 유행기의 매출부진에 따른 기저효과가 가장 크게 작용했고, 입시 준비의 절박함과 느슨해진 경각심으로 인한 야외시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도 한 요인이라는 게 연구소 측 설명이다.
이밖에도 주류전문점이나 축산물·정육점 등 '홈쿡' 및 '홈술' 관련 업종은 2차 유행기 때 매출이 1차 유행기나 전년 누계에 비해 모두 확대되는 등 전반적으로 수혜를 입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소비 트렌드에도 변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표적으로는 '퍼스널 모빌리티'와 '건강·그린 하비(green hobby)'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 대중교통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올해 들어 자전거(92%), 오토바이(55%), 자동차운전면허(19%)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었다. 셀프 텃밭과 플랜 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화원·화초(9%)와 비료·종자업종(15%)의 매출도 전년에 비해 증가했다.
양정우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코로나19로 올해에는 세부업종별로 매출 차별화가 더욱 부각됐고, 소비행태도 '퍼스널'과 '그린' 위주로 형성된 측면이 있다"면서 "이것이 장기 트렌드로 자리 잡을지는 좀 더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16일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의 '코로나19가 가져온 소비 행태의 변화Ⅱ'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소는 하나카드 매출 데이터를 3월 1차 유행기와 9월 2차 유행기로 구분해 9개 대분류, 230개 소분류로 분석해 업종별로 비교했다.
이 중 의료·보건업종의 경우 세부업종별로 매출액 차별화가 가장 두드러졌다. 신경정신과는 올해 1~10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 늘어났다. 장기간 지속되는 코로나19로 인해 사모임이 줄어들고 야외 활동에 제약이 생기면서, 정신적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환자가 증가한 데 따른 영향으로 연구소 측은 분석했다.
성형외과(10%), 안과(24%), 피부과(10%)도 안정적인 매출을 보였다. 반면 이비인후과(-11%)와 소아과(-10%), 종합병원(-6%), 한의원(-2%) 등은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성인오락실(-89%)과 노래방(-72%), 유흥주점(-65%) 등 유흥시설은 9월 들어 지난해에 비해 매출 감소폭이 컸다. 예술품 및 시계·귀금속 등 사치품 관련 업종도 매출 감소가 두드러졌다.
반면 예체능학원(137%), 테마파크(121%) 등 입시 관련이나 여행·레저 업종은 작년 대비 매출이 확대됐다. 1차 유행기의 매출부진에 따른 기저효과가 가장 크게 작용했고, 입시 준비의 절박함과 느슨해진 경각심으로 인한 야외시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도 한 요인이라는 게 연구소 측 설명이다.
이밖에도 주류전문점이나 축산물·정육점 등 '홈쿡' 및 '홈술' 관련 업종은 2차 유행기 때 매출이 1차 유행기나 전년 누계에 비해 모두 확대되는 등 전반적으로 수혜를 입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소비 트렌드에도 변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표적으로는 '퍼스널 모빌리티'와 '건강·그린 하비(green hobby)'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 대중교통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올해 들어 자전거(92%), 오토바이(55%), 자동차운전면허(19%)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었다. 셀프 텃밭과 플랜 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화원·화초(9%)와 비료·종자업종(15%)의 매출도 전년에 비해 증가했다.
양정우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코로나19로 올해에는 세부업종별로 매출 차별화가 더욱 부각됐고, 소비행태도 '퍼스널'과 '그린' 위주로 형성된 측면이 있다"면서 "이것이 장기 트렌드로 자리 잡을지는 좀 더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