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마을 교육공동체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전 자치구로 확대

2019-01-16 15:00
  • 글자크기 설정

구별 평균 15억원 투입…지역 여건·특성 반영한 마을주도 교육과제 기획


어린이와 청소년을 학교-마을 교육동체 안에서 함께 키우는 '서울형혁신교육지구'가 올해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 된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강동구 등 11개 자치구가 참여한 서울형혁신교육지구가 2016년 20개, 2017년~2018년 22개 자치구로 확대된데 이어 올해는 나머지 3개 자치구(강남구, 송파구, 중랑구)도 참여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2014년 상생과 협력의 글로벌 교육혁신도시 서울 선언을 통해 2015년부터 혁신교육지구를 교육청과 협력해 추진해 왔다.
작년 한 해 22개 자치구에서 학교와 교사가 주도하는 교과서 중심의 전통적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학부모, 학생, 주민 등 다양한 주체가 함께 참여해 방과 후 마을교육, 진로‧직업 교육, 청소년 자치동아리 등 각 지역별 교육여건과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제를 자율적으로 발굴했다.

예를 들어 서대문구에서는 토요일마다 동주민센터의 유휴공간을 청소년 활동공간으로 활용하는 '토요동(洞) 학교'를, 영등포구는 문래창작예술촌 등 학교 밖 지역 거점공간 20여 곳에서 방과 후 학교를 진행하는 'n개의 삶-n개의 학교'를 각각 운영해 호응을 이끌었다. 구로구 청소년들은 학교, 지역사회, 주민이 함께 어울리는 '구로 청소년축제'를 직접 기획‧운영하기도 했다.

올해도 자치구별로 평균 15억 원(시 5억 원, 시교육청 5억 원, 자치구 5억 원 이상)을 투입하며, 각 자치구가 지역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 연계해 학교 안팎을 넘나드는 다양한 아이들의 배움과 쉼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지난 4년(1단계 2015~2018년)이 서울형혁신교육지구를 확대해 서울 전역으로 보편화시키는 단계였다면, 25개 자치구가 전면시행하는 2단계(2019~2022년)에서는 민‧관‧학 거버넌스 강화를 통한 질적 성장을 이뤄나간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모든 혁신교육지구에서 수행해야 했던 필수과제를 없애고 각 자치구별로 지역 특수성을 고려해 자율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은 서울형혁신교육지구의 25개 전 자치구 확대와 2단계 도약을 알리는 '서울형혁신교육지구 2단계 협약식'을 16일 왕십리 디노체컨벤션(성동구 왕십리 광장로17)에서 개최한다.

협약식에는 박원순 시장과 조희연 교육감, 신원철 서울시의회 의장, 25개 자치구 (부)구청장, 11개 교육지원청 교육장, 학부모, 지역주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한다. 협약식 이후에는 서울형혁신교육지구 2단계 도약을 상징하는 비전 선포식이 이어진다.

박원순 시장은 "지방자치와 교육자치의 벽을 허문 헙력모델로 2015년 첫 발을 뗀 서울형혁신교육지구가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되는 2단계 도약을 시작으로, 서울 전역에 학교-마을교육공동체가 뿌리내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또 "앞으로의 4년동안 우리 미래인 아이들이 '앎과 삶'을 즐겁게 배우고, 지역사회의 주인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시와 교육청, 25개 자치구가 더욱 더 힘을 모아 함께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