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8개월째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추가 인상 시기가 더 늦춰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국과 미국 간 정책금리 격차 확대에도 미국에서 촉발된 무역전쟁으로 신흥국 경기가 흔들리고 있고, 고용 및 경기전망도 어두워 8월 금통위에서 어떤 결과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금융투자업계는 지난 7월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서에 대해 미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이 더 커진 것으로 분석했다. 금리인상도 예상대로 9월과 12월에 추가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부국증권에 따르면 연준은 미국 고용과 경제활동에 대한 표현을 견조하다(solid)에서 강하다(strong)로 바꾸는 등 긍정적인 시각을 강화했다. 또 가계 지출과 기업 투자에 대해서도 강하게 성장했다고 표현했다.
문제는 미국의 경제가 지속적으로 개선세를 나타내는 것과 달리 국내 경제는 뒷걸음질 치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연구원은 지난 10일 발표한 '하반기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1%에서 2.9%로 0.2% 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앞서 한국은행도 하반기 경제전망치를 3.0%에서 2.9%로 0.1% 포인트 낮춘 바 있다.
이는 미국이 각 국가를 상대로 무역분쟁을 촉발하고 있고, 지난 6월까지 취업자 증가폭이 5개월 연속 10만명대에 머무는 '일자리 쇼크'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는 "1~2년 내에 경기 하강 위험이 가시화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경기 둔화나 경제 불안이 현실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우리 경제의 복원력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통화와 재정정책을 운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같은 대내외 리스크들로 인해 8월 금통위에서도 기준금리는 동결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그동안 전문가들은 7월 또는 8월 중 금리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점쳐왔다. 하지만 국내 경제 상황이 예상보다 부진하자 10월로 연기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올해 1~2차례 금리인상이 단행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약화돼 최근에는 한 번이나 가능할까 하는 의구심도 높아진 상황"이라며 "금리인상 시기는 8월에서 주변 여건을 감안해 10월까지 이연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올해 기준금리 인상이 없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김명실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미‧중 무역분쟁 여파에 대한 교역조건 악화 등 실물경기의 부정적 영향이 하반기에 추가로 반영될 수 있다"면서 "근원인플레이션 부진 등 물가상승 압력이 낮아 부담이고, 확장적 재정정책에도 고용 부진 등 하반기 국내경기 회복 탄력도 감소 등을 고려할 때 금리 동결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