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토지 및 주택 관련 업무에 드론 활용을 본격화한다. 연간 250억원을 투입해 전국 215개 사업장, 12개 업무에 드론을 활용한다.
LH는 이르면 내달부터 전국 215개 사업지구의 조사·설계·공사관리 등 업무에 드론을 우선 활용하고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LH는 △계획(후보지 조사, 공람공고, 보상) △설계(현황조사 측량, 토목BIM 설계, 건축설계) △시공(단지공사, 도로공사, 건물공사, 안전진단) △자산·유지관리 △홍보 등 5개 분야, 12개 업무에서 드론을 우선 활용하기로 했다.
우선 계획단계에서는 사업추진에 필요한 토지를 수용·보상하기 위한 현장조사업무 및 신규 사업지구 결정, 사업지구 경계 설정을 위한 후보지 조사 등에 드론 영상을 활용하기로 했다.
토지보상의 경우 사업 초기 단계에 항공사진을 일회성으로 촬영·활용하고 직접 방문 조사를 병행하던 기존 방식을 수시 확보 가능한 드론 영상과 지적도·지형도 간 중첩 및 비교 방식으로 대체한다.
설계단계에서는 시설물의 형상·속성정보를 실제와 동일한 3차원 정보로 구축하고 공공측량에 적합한 수치지형도면을 제작하는 등 설계 및 토목BIM 구축업무에 드론을 활용한다.
또 시공·유지관리 단계에서는 공사현장의 공정률 파악과 공정관리, 안전점검 등의 업무에 드론을 유용하게 활용하게 된다.
단지공사의 경우 작업공정별 영상자료를 구축해 지형특성을 비교분석할 수 있으며, 지하매설물 관로·맨홀·구조물·조사측량·포장 등 다양한 설계도면을 중첩한 공사 관리도 가능해진다.
아파트 등 주택공사에서는 접근이 어렵고 위험한 현장에 회전익 드론을 활용, 다각도의 영상 획득이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외관조사와 균열, 파손 등의 손상 규모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기존 안전점검은 주로 육안조사로 실시돼 고층부 외벽 등에는 한계가 있었지만, 드론에 고정밀 RGB영상 또는 열화상 영상취득 센서 등을 부착해 근접 촬영하면 균열부 확인과 입체적 영상분석 기법을 통한 시설물 내 손상부분 탐지가 가능해진다.
이와 함께 LH는 드론으로 취득된 다양한 공간·공사정보의 처리·가공·활용을 위해 세계 최초의 '원스톱 드론 운영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전국 LH 사업지구 내에서 비행하는 모든 드론은 사전승인을 받아야 하며, 중앙통제에 따라 현장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등 지상관제장비를 통해 비행하게 된다.
현장에서 취득된 영상들은 중앙 통제실로 실시간 전송되며, 중앙 통제실은 수신영상을 GIS 정보로 변환한다. 변환된 정보는 현장으로 재전송되고 빅데이터 서버에도 저장된다.
부품 및 소모품에 대한 유지보수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추락 등으로 인한 기체 손실·고장 시에도 즉각 대응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전국 LH 사업 현장에서 드론을 전면 활용하는 경우 연간 약 2500여회의 비행소요가 예측되며, 연간 약 250억원의 신규 드론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 연 130억원이 소요되는 항공촬영 업무를 드론으로 대체하게 되면 비용은 절반 수준인 연 66억 정도로 줄어드는 반면, 높은 해상도 확보와 함께 운영가능일도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LH 관계자는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한 건설관리로 공사과정의 투명성이 확보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업무 효율성 증대 등 직접적인 효과 외에도 위험한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예방, 기술인력 수요로 인한 일자리 창출 등도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