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석규의 대몽골 시간여행-34] 위구르는 왜 스스로 신하가 됐나?

2017-08-31 14:29
  • 글자크기 설정

[사진 = 배석규 칼럼니스트]

▶스스로 몽골 보호막 찾은 위구르

[사진 = 13세기 위구르 왕국]

몽골에 대항하다 나라 자체가 사라진 서하와는 달리 스스로 몽골의 영향권을 찾아들어 안전을 도모한 나라도 있었다.
지금 중국의 서역 신강자치구에 살고 있는 위구르인들이 그들이다.

중국은 지금 소수민족들의 이탈 움직임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특히 중국 서쪽의 위구르인들과 티베트인들의 분리 독립 움직임은 중국 당국의 갖가지 탄압과 회유에도 불구하고 끈질기게 이어지며 멈추지 않고 있다.
 

[사진 = 위구르인]

티베트의 분리 독립 운동이 중국 바깥세상에 비교적 잘 알려진 데 비해 신강 위구르인들의 투쟁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다.
그 차이를 가져온 가장 큰 이유는 달라이 라마의 존재 때문이다.

▶폭력적인 분리 독립운동
신강 위구르인들의 분리 독립 운동은 티베트인들의 그 것보다 훨씬 폭력적이라는 점에도 차이가 있다.
위구르인들은 지난해인 2016년만 해도 몇 차례의 테러로 자신들의 분리 독립 의지를 보여줬다.

2016년 9월의 폭탄테러로 신강지역 공안부국장을 비롯한 경찰 세 명이 숨지고 여러 명이 다쳤다.
또 한달 뒤인 2016년 10월에는 키르기스스탄 수도 비슈케크에 있는 중국대사관에 폭탄을 실은 승용차로 돌진해 자살 테러를 자행하기도 했다.

지난 2014년에는 시진핑 주석의 방문에 때맞춰 우루무치에서 폭탄테러를 감행하고 2009년에는 대형유혈사태로 수 백 명이 숨지는 등 수 십 년째 테러 저항운동을 멈추지 않고 있다.
미국의 싱크탱크 뉴 아메리카 2016년 보고서는 중국 출신 IS(테러단체 이슬람국가) 요원이 118명인데 그 가운데 위구르 자치구 출신이 114명으로 중국 당국의 박해가 그들의 IS 가입 동기라고 밝혀서 관심을 끌었다.

이처럼 자신들의 독립을 위해 처절하고 힘든 고난의 길을 가고 있는 위구르인들이다.
그런데 과거 13세기 가장 먼저 칭기스칸을 찾아가 스스로 나라를 헌납하며 신하되기를 자처한 나라도 위구르이다.
많은 세월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의외의 일이다. 무엇 때문에 그랬을까?

▶위구르왕국 신하되기를 자청
위구르인들이 스스로 신하가 되기를 자청하고 나선 것은 칭기스칸이 내부정비를 통해 대몽골의 모양을 갖춰 가던 1209년이었다.
그 때도 위구르인들은 지금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중국의 신강 지역 근처에 살고 있었다.
 

[사진 = 위구르천산산맥 천지]

위구르인들은 사신을 보내 칭기스칸에게 그들의 주군이 돼 줄 것을 요청했다.

"구름이 개어 어머니이신 태양을 본 듯, 얼음이 풀려 강물을 얻은 듯 칭기스칸의 명성을 듣고 몹시 기뻤습니다. 허락하시어 황금 띠의 죔쇠라도, 진흥옷의 자투리라도 얻는다면 대칸의 다섯째 아들이 돼 힘을 드리겠습니다."

▶훌륭하게 적중한 위그루의 도박
위구르의 왕을 이디쿠트(idi-qut 赤都護)라 부른다.
위그루 이디쿠트는 몽골측이 이를 수용하자 1211년 직접 금, 은, 진주, 비단 등 공물을 가지고 칭기스칸을 찾아와 신하의 예를 갖췄다.
 

[사진 = 위구르 무희]

칭기스칸은 그 보답으로 다섯째 아들이 되도록 하라며 자신의 딸 알툰을 주어 부마로 삼았다고 몽골비사는 기록하고 있다.
사위로 삼은 것이지만 이후 몽골제국 안에서 위구르인들의 위상을 보면 실제로 칭기스칸의 다섯 번째 아들에 버금가는 대접을 받았다.
위구르는 몽골고원 바깥쪽에 있는 민족들 가운데 칭기스칸의 지배권을 인정한 첫 번째 사례였다.

당시 대몽골 제국이 갓 출범한 시점이었고 동쪽에 금나라가 건재한 상황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위구르의 선택은 거의 도박에 가까운 것이었다.
위구르는 과거 몽골 초원을 한 세기 동안 장악했던 민족으로 비록 투르크 계통이지만 많은 부분에서 몽골과 동질성을 느꼈을 가능성이 있다.

또 당시 거란족이 세운 서요(西遼)라는 카라키타이의 영향권에 있었지만 그 보다는 몽골 초원을 장악한 칭기스칸의 영향권으로 들어가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있다.
지금의 위구르인들의 저항은 종교적인 요소가 강하지만 그 때는 그런 요소가 없었던 것도 큰 이유일 것이다.

말하자면 냉정하고 치밀한 계산 끝에 선택한 도박이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위구르의 이 도박은 훌륭하게 적중해서 자신들의 안전을 보장받으면서 몽골제국 안에서 능력을 마음껏 발휘하게 된다.

▶몽골 고원 1세기동안 지배
위구르는 한 때 몽골 고원을 장악했던 유목민족이었다.
원래 몽골고원을 차지했던 東돌궐제국의 지배 아래 있었던 위구르는 744년 東돌궐제국이 망하면서 그 대체 세력으로 등장해 몽골 초원을 1세기 정도 다스렸다.

수도는 카라발가순에 자리하고 있었다. 카라발가순은 과거 흉노와 돌궐의 칸들의 거처가 있었고 후에 대몽골제국의 수도가 되는 카라코룸에서 서쪽으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자리 잡고 있었다.
지금도 오르콘강 근처의 카라발가순 지역에는 옛 위구르 제국의 성터가 남아 있는 것을 카라코룸 방문했을 당시 직접 볼 수 있었다.

▶마니교 믿으며 문화적 소양 높여
이곳을 수도로 삼은 위구르제국은 돌궐과는 달리 이웃 중국의 당(唐)나라와 비교적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755년 당나라에서 안록산의 난이 일어났을 때 반란군으로부터 수도 장안을 탈환하는 데 큰 도움을 줬다.

당시 당나라를 도운 뒤 낙양에 머물렀던 위구르의 칸 등리모우는 마니교 선교사들과 접촉한 뒤 몽골초원으로 돌아갈 때 이들을 데리고 가 마니교로 개종했다.
고대 페르시아의 조르아스터교 (拜火敎)에서 파생돼 나와 기독교와 불교를 접합시킨 이 종교는 교조의 이름을 따 마니교라고 불렀다.

엄격한 도덕적 계율을 내세우는 이 종교는 발생지인 이란과 이라크에서 박해를 받아 쫓겨났으나 예기치 않게 위구르 제국의 국교(國敎)가 되면서 다시 환생한 것이었다.
동서양의 문화와 종교를 접목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한 마니교는 무엇보다 위구르들의 문화적인 소양을 높이는데도 크게 기여했다.
 

[사진 = 카라발가순비(오르콘강 근처)]

그래서 위구르인들은 카라발가순 비문에 “피 냄새가 진동하는 야만인 습속이 유행하던 나라가 채소를 먹는 사람들의 땅으로 바뀌었고 살인이 자행되던 나라가 평화로운 나라가 됐다.”고 적고 있다.

▶몰락 후 투르판 근처에 위그루왕국

[사진 = 위구르 몽골 문자]

위구르인들은 특히 소그드 문자를 차용해 위구르 문자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민족 문화를 발전시켜 어떤 몽골․투르크계 종족 보다 높은 문화적 수준을 유지했다.
바로 이러한 문화적 소양이 몽골 문자를 만들어 내고 칭기스칸 시대 몽골인들의 교사로 행정가로 발탁돼 몽골인들의 문화적 수준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는 바탕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야만적인 요소를 버려 가는 과정에서 위구르들은 힘을 잃었던 것이 분명해 보인다.
 

[사진 = 우루무치 전경]
 

[사진 = 트루판 시가지 포도 터널]
 

[사진 = 트루판 전경]
 

[사진 = 트루판 시내 카레즈]

840년 바이칼호 근처 예니세이강 상류에 살던 시베리아 부족 키르키즈인들이 카라발가순을 점령하고 칸을 살해함으로써 위구르 제국은 몰락하고 만다.
제국의 몰락과 함께 몽골지역에서 밀려난 그들은 지금 중국의 감숙성 일부지역과 투르판과 쿠차, 우루무치 지역 등지에 정착하면서 위구르왕국을 세웠다.
 

[사진 = 우루무치 민족시장]
 

[사진 = 화염산(트루판)]


▶몽골제국의 두뇌집단으로 기여
동서의 문화가 교차하고 여러 나라의 정보가 집중되는 곳에 자리 잡은 위그루 왕국은 종교도 불교로 개종하고 작지만 영향력 있는 나라로 성장해왔다.
바로 그 위구르 왕국이 칭기스칸의 대몽골제국이 출범하자 신하가 될 것을 자청하며 찾아온 것이었다.
 

[사진 = 손오공과 삼장법사]

향후 대몽골 제국에게 문명의 교사(敎師)가 생겼다는 점과 함께 중국의 서부 지역이 칭기스칸의 영향권 안에 들어왔다는 점에서 위구르의 복속은 대몽골 모양 갖추기에 결정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칭기스칸에 이은 역대의 몽골 군주들은 특히 위구르 인을 대거 행정에 기용했다.
오랜 국제 교역 경험과 고도의 문화 능력을 배경으로 그들은 율법, 행정, 재정, 조세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아, 화폐 정책, 조세 징수 등의 업무를 담당했다.
 

[사진 = 몽골문자 창제(칭기스칸 가묘 벽화)]

특히 위구르인들은 그 때까지 문자가 없었던 몽골인들에게 고대 위구르 몽골어를 만들어줌으로써 비로소 몽골이 문자를 가진 나라가 됐다.
이 고대 몽골어는 1940년대 몽골이 러시아 문자인 끼릴 문자를 빌려 지금의 표음문자로 사용하기까지 7백 년 동안 몽골의 언어가 됐다.

지금도 몽골의 관청의 간판이나 공식문서에서 이 문자를 자주 볼 수 있다.
위구르 인들은 몽골 제국의 영향권 아래 있으면서 그들의 문화를 동아시아 일대에까지 널리 침투시키고 위구르 문화의 세계화를 이루는 결과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