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더 잘하는데 돈은 그대로" 금융위기後 한국 노동생산성 향상 폭 임금의 5배

2015-06-16 14:16
  • 글자크기 설정

IMF "임금 상승·노동생산성 향상 격차…소득 불균형 원인"

IMF는 15일(현지시간) 발표한 '국제적 관점에서 본 소득 불균형의 원인과 결과' 보고서에서 "노동생산성 향상이 임금 상승과 꾸준히 격차를 보이는 현상은 경제 성장 저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사진= 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최서윤 기자 = 2009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한국 제조업의 실질 임금 상승 속도가 같은 기간 노동생산성 향상 속도의 5분의 1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노동생산성 향상은 같은 노동을 투입해 이전보다 많은 생산량을 산출하거나 이전보다 적은 노동을 투입해 동일한 산출물을 생산하는 것을 뜻한다.

15일(현지시간) 미국 민간연구기관인 콘퍼런스보드의 ‘국가별 노동생산성과 단위노동비용 추세’ 자료에 따르면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즉 시간당 생산량은 연평균 2.71% 상승했다. 그러나 동기간 시간당 실질 임금의 연평균 증가율은 0.56%로, 실질 임금 증가율 대비 노동생산성 상승률은 4.8배에 달했다.
콘퍼런스보드의 조사 대상 20개국 가운데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연평균 노동생산성 상승률은 싱가포르 6.8%, 타이완 5.2%, 덴마크 4.4%, 아일랜드 3.9%보다 뒤졌지만, 일본 2.4%, 미국 1.7%, 독일 1.3%보다 높았다.

금융위기 이후 임금 증가율은 노르웨이(2.05%), 프랑스(1.60%), 호주(1.27%) 등 12개국이 한국보다 높았고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연평균 0.13%의 실질임금 감소가 나타났던 일본에서도 2009년부터 작년까지는 연평균 0.69%씩 실질임금이 올랐다.

노동생산성이 감소(-1.85%)한 핀란드를 제외한 19개 조사대상 국가 가운데 임금 상승 속도가 생산성 증가분을 앞지른 곳은 호주(0.76배), 이탈리아(0.82배), 스웨덴(0.99배)뿐이었다.

전문가들은 임금 상승과 노동생산성 향상의 격차가 계속되면 △중산층의 소비 여력 위축 △소득 양극화 △경제 성장 저해를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이날 발표한 ‘국제적 관점에서 본 소득 불균형의 원인과 결과’ 보고서에서 “경제적 지대(economic rent·공급이 제한된 생산요소에서 발생하는 추가 소득)가 소득 최상위층으로 흘러들면서 평균 임금 상승률이 생산성 증가율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임금이 대부분의 가계에서 주 소득원인 만큼 이러한 현상은 중산층에 더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