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보건복지부가 국회예산정책처에 낸 ‘2014년 소득수준 및 가입기간별 노령연금급여액’ 자료를 보면 2014년 1월에 국민연금에 최초 가입한 신규 가입자의 25년 후 평균 연금수급액은 현재의 물가수준으로 최소 25만원에서 최대 79만7260원 수준이었다.
복지부는 이런 연금액을 산정하면서 월 보험료율은 9%로, 보험료를 매기는 기준소득월액 최고금액(소득 상한액)은 408만원, 최저금액(소득 하한액)은 25만원으로 각각 설정했다.
또 소득재분배 효과가 있는 국민연금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전체 가입자의 최근 3년간 평균소득월액(A값)으로 2014년 기준 198만1975원을 적용했다.
국민연금 수급액은 기본적으로 가입자의 가입기간과 납부한 보험금액을 바탕으로 산출되지만 소득 상·하한액을 설정해 아무리 소득이 많은 고소득자나 소득이 낮은 저소득자라도 그 상·하한액 이상이나 이하의 보험료를 내지 못하게 하고 있다.
이를 기준으로 기준소득월액이 200만원인 사람이 올해 1월에 국민연금에 가입했다면 월보험료로 18만원(200만원×9%)을 내고, 10년 뒤에는 22만2740원, 15년 뒤에는 32만4770원, 20년 뒤에는 42만4320원, 25년 뒤에는 52만3870원을 받는다.
이는 경제 활동을 하면서 벌어들인 생애 평균소득과는 큰 차이가 있다. 보험연구원이 2011년 8월에 전체 가입자의 국민연금 평균 가입기간(27년)과 월평균소득(203만원)을 토대로 실질소득대체율을 산출한 결과 25.8~30.7% 수준에 그쳤다. 국민연금이 40년 가입을 전제로 정한 목표소득대체율(40%)에도 못 미치는 것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정부는 국민연금 사각지대를 해결하고 실질적인 가입기간을 늘려 실제소득대체율이 목표 소득대체율에 근접할 수 있도록 노력해 국민연금의 노후소득보장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