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광연 기자 = 네이버 통합 노동조합 설립 움직임에 가장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는 곳은 게임업계다. 산업 매출 10조 원, 종사자 10만 명을 넘어설 정도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게임업계에서는 그동안 꾸준히 노조설립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과거 게임업계에서는 과도한 야근과 경영 악화로 인한 임금 미지급 등이 여러 차례 논란이 된 바 있다. 최근에는 주요게임사들의 상장에 따른 외부감사와 자체적인 근무환경 개선 노력 등으로 상당부분 해결됐지만 여전히 일부에서는 이 같은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
게임산업의 경우, 개발과 서비스, 홍보 및 마케팅 등이 단일 프로젝트(게임)에 맞춰 조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해당 프로젝트가 부진을 겪거나 무산될 경우 관련 인력의 상당수가 급작스럽게 정리되는 경우가 많다. 게임업계에서 이직이 빈번히 발생하는 이유다.
또한 해당 프로젝트 출시가 임박하거나 대규모 업데이트 등을 실시할 경우 어쩔 수 없이 야근을 감수해야만 한다. 최근에는 일부 게임사에서 야근을 금지하는 등 변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산업 특성상 법정 근로시간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따라서 게임노조 설립 시 명확한 기준에 입각한 야근 수당이나 탄력적 근무제 적용, 이직에 따른 사내 노조 가입 절차 최소화 등 현실에 맞는 규율 확립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무엇보다 노조설립 초기단계에서 이런 특수성을 반영해야 향후 게임인들의 제대로 된 권익보호에 나설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국내 대형 게임사 직원은 “게임노조 설립은 적극적으로 찬성하지만 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들이 선행되어야 한다”면서 “게임인들의 권익과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막 형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