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코스닥시장 투자심리 위축으로 이들 기업의 주가가 행사가보다 조금만 올라도 매물이 쏟아질 가능성은 더욱 커졌다.
21일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들어 코스닥시장에서 신주인수권 행사가액을 조정한 공시는 총 400건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2년 한 해 동안 총 308건에서 올해 현재까지만 30% 가까이 늘었다. 대부분 조정사유가 시가하락에 따른 행사가액 조정으로 코스닥지수가 연저점을 기록한 6월 이후 240건이나 쏟아졌다.
김은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통상 신주인수권 행사가액 조정공시는 코스닥 상장사”라며 “일반채를 발행하기에는 코스닥 상장사들의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이러한 기업 대부분이 실적 부진으로 조정장에서는 주가가 떨어져 행사가액이 조정된다”고 덧붙였다.
이 상태가 유지되면 투자자들은 만기까지 기다렸다가 약정된 금리로 사채 상환을 요구한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문제는 권리행사 물량이 늘어나고 이는 주가에 잠재적 물량 부담으로 작용하는 점"이라며 "즉 상장사 입장에서는 재무구조 부담이 생기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차익 실현성 물량으로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행사가 조정 후 주가가 반등할 경우 차익 실현 욕구는 더욱 커져 대량 매물 출현으로 급락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행사가액을 조정하는 상장사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행사가액을 내리고 주가가 하락하면 다시 행사가 추락이 이어지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어서다.
더구나 행사가를 조정하는 상장사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8월 말 자본시장 통합법이 시행되면서 분리형 BW 발행이 금지돼 막판 BW 발행에 참여한 기업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지난 8월 분리형 BW 발행 금지를 앞두고 규제 우회를 위한 사전 포석으로 신용 등급 하위 기업들이 자금조달에 나서면서 BW 발행규모가 증가했었다"며 "보통 사채발행 후 3개월마다 행사가액을 조정하기 때문에 조정 건수가 당분간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지난 8월 말 BW를 발행한 기업을 꼼꼼히 따질 필요가 있단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