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환경부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각) 독일·노르웨이·영국 등 일부 당사국들이 제19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의에서 향후 GCF의 재원 공여에 동참할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성규 환경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한 우리나라 정부와 유엔(UN)은 GCF로 대표되는 장기 기후재원 마련을 위한 선진국들의 동참을 연일 촉구하고 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내년 UN기후변화 정상회의가 기후재원 조성의 모멘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GCF의 조속한 재원조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난 2009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선진국들은 2010~2012년까지 3년간 매년 100억달러 규모의 기후재원을 마련하고 2020년까지 규모를 연간 1000억달러로 늘리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 중 상당 부분은 GCF 기금으로 활용된다. GCF 사무국을 유치한 한국은 개발도상국 능력배양기금으로 4000만달러를 약속했다.
하지만 미국 등 선진국들은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논의 없이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장기 기후재원을 약속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윤성규 환경부장관은 기후재정 장관급 회의에서 “내년 9월 열리는 UN기후변화 정상회의 이전까지 재원확충 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각국이 노력해달라”며 “장기재원 조성 로드맵을 마련하기 위해 각국 기후재원 담당 정부인사로 구성된 작업반을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인도·중국 등 개도국 그룹인 G77그룹(개발도상국 상호 협력을 위한 국제회의)이 GCF의 조속한 재원조성을 촉구하는 한편 독일·노르웨이·영국 등 선진국들이 재원공여에 동참할 뜻을 밝혔다”며 “GCF 재원조성 및 능력배양사업의 조속한 개시를 촉구하는 총회 결정문안을 제안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일각에선 재원 마련 없이 출범하는 GCF를 빗대 ‘속 빈 조개껍데기’라고 우려하지만 GEF(지구환경기금)나 AF(적응기금)와 같은 기존 환경기금이 설립 제안부터 정식운영까지 7~8년 정도 걸린 것을 감안하면 이미 본부협정 체결 및 GCF 지원법 제정 등을 마무리한 GCF는 상당히 빠른 진척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