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시장에서도 이번 기준금리는 동결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했다. 국내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등 대외 불확실성, 저물가 등이 발목을 잡을 것이란 판단이 바탕이 됐다.
경기지표를 살펴보면 현재 우리 경제는 미약한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다. 9월 지표는 다소 주춤했으나 전반적인 회복세는 계속되고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9월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2.1%, 소매판매도 2.0% 각각 줄었다.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도 전월보다 4.1%와 2.2% 감소했다. 그러나 여기에는 추석과 자동차파업 등 일시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다.
실제로 3분기 기준으로 광공업 생산은 전분기 대비 0.7% 증가하고 민간소비도 전기대비 1.1% 늘었다.
9월 취업자 수 증가폭은 46만3000명으로 전월보다 확대됐고 고용률도 60.4%로 전년 동월보다 0.4%포인트 올랐다.
10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7.3% 증가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지표만 보면 경기의 회복 흐름은 지속되는 것처럼 보이나 물가가 지나치게 낮은 점은 장애물로 꼽힌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0.7% 오르며 1999년 7월(0.3%) 이후 14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두 달 연속 0%대 물가상승률을 기록하면서 경기침체와 물가하락을 동반한 디플레이션 우려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한은은 저물가의 원인을 으로 원유 등 공급측면의 요인 때문으로 보고 좀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대외 불확실성도 금리를 움직이기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한다.
현재 미국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시점을 두고 이르면 오는 12월 단행할 것이란 예상과 내년 3월은 돼야 할 것이란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통화정책을 건드리는 것은 부담스러울 것이라는 게 시장의 판단이다.
기재부도 최근 우리 경제에 대해 "회복조짐이 점차 강화되고 있으나 투자 등 민간부문의 회복세가 아직은 견고하지 않은 모습"이라며 "미국 재정·양적완화 리스크 등 대외 위험요인도 상존한다"고 평가했다. 금통위가 통화정책 운용에 있어 아직까지는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한편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채권전문가 1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9.2%가 이달 기준금리에 대해 동결을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