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MSG'의 안전성을 이미 인정했지만 일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는 여전히 유해물질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MSG를 생산하는 조미료 제조업체들만 애꿎은 피해를 입고 있다.
송광호(새누리당) 의원은 14일 우리 정부는 1980년대 중반부터 MSG를 안전한 식품 첨가물로 공인했고, 식품의약품안전청이 2010년에 이를 재확인했지만 일부 부처와 지자체에서는 여전히 유해물질인양 정책을 집행하고 있다고 폭로했다.
실제로 식약청은 지난 2010년에 MSG를 평생 섭취해도 안전하다고 공식 발표했다. 유엔 식품첨가물 전문가위원회(JECFA) 역시 1973년 MSG의 ADI(섭취 허용 한계량)를 153밀리그램(mg)으로 설정했다가 1987년 230개의 연구결과를 검토한 후 'MSG는 건강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판단, 이미 설정했던 섭취 허용량을 철폐했다.
미국식품의약국(FDA) 역시 1995년 "현재 조미료로 사용하고 있는 수준에서 인체에 해를 준다는 증거나 이유가 없다"고 공식 발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부처와 지자체 잘못된 정책으로 MSG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해가고 있다.
현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는 식약청이 잘못 알려졌다고 확인한 MSG의 부작용 사례가 그대로 기술돼 있다. 서울특별시 교육청이 발간한 '2013년도 학교급식 기본지침'에도 화학조미료 사용을 금지시키고 있다.
국립대학인 서울대학교의 교수식당 역시 'MSG 미사용'을 마케팅과 홍보 차원에서 메뉴판 전면에 적시하고 있다.
공군은 장병들의 식단에서 MSG를 빼기로 결정했으며, 육·해·공군이 모여 있는 계룡대 식당에서도 MSG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지자체의 경우도 다르지 않다. 포항시는 2011년 부터 '인공조미료 사용 안하기 및 나트륨 줄이기 사업'을 적극 추진하며, MSG를 사용하지 않는 식당을 '건강음식점'으로 인증하다 관내 식당 상인들과 식품업계의 반발로 사업을 축소했다. 대구 동구청 역시 올초부터 식당 위생상태 조사 때 MSG 사용여부를 함께 점검하고 있다.
이처럼 정부와 지자체가 엇갈린 정책으로 혼선을 빚는 와중에 국내 대표 MSG 생산업체인 '미원'의 국내 매출액은 1990년 이후 2012년까지 380억원 증가에 그쳤다. 반면 수출을 포함한 해외 매출은 1560억원 가량 증가했다.
MSG의 안정성을 인정하는 해외에서 선전을 펼치는데도 불구하고 정부의 오락가락 정책으로 내수시장에서는 진땀을 빼고 있는 것이다.
조미료업계 관계자는 "해외 시장에서의 국산 MSG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라도 국내 시장에서의 오해를 풀어 해외 매출 신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