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민주당 박완주 의원이 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6차 전력수급계획(이하 6차 계획)’에 따르면 8개 민간발전사가 1176만㎾ 용량의 발전소 건설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오는 2020년 국내 발전설비는 현재(8230만㎾)보다 2957만㎾가 늘어나 1억1000만㎾의 생산능력을 갖게 되고, 민자 발전은 총 발전설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최대 25%까지 늘어나게 된다.
이에 박 의원은 올해 전력난의 원인을 제공했던 업체 상당수가 이번 6차 계획에서 또 다시 참여해 전력난의 우려가 높아진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전력 수급계획에 참여했던 민간발전소가 짓지 않은 발전기는 그동안 4개사 8개로 원자력발전소 4개가 넘는 450만㎾의 전력수급이 차질을 빚으면서 지난해와 올해 최악의 전력난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특히 민간발전소는 최근 수년째 계속되는 전력난에 독점적 사업지위와 안정적 고수익 등 기업들에게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이우면서 정권적 특혜사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 300만㎾의 발전기를 돌리는 포스코에너지는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1818억 원에 달하는 등 민자 6개사 한해 수익이 9300억 원에 달하면서 지나친 폭리구조라는 비난까지 받았다.
여기에 특혜성 사업에 민간발전사들에게 넘어가지만 이들이 전력수급사정과 경기에 따라 발전소를 짓지 않아도 아무런 책임을 짓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박 의원은 지적했다.
산업부 ‘민간발전사 발전소건립 철회 및 미반영 현황’을 보면 지난해까지 발전계획에 참여했다가 이를 포기한 업체는 GS-EPS(2기 100만㎾), 대우건설(3기 163만㎾), 대림(2기 140만㎾), 포스코건설(1기 50만㎾) 등 모두 453만㎾에 달하지만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았다. 6차 계획에 사업인가를 받은 민간발전사는 SK건설(200만㎾), 삼성물산(200만㎾), 동양파워(200만㎾), 동부하슬라(200만㎾), GS EPS(95만㎾), 대우건설(94만㎾), SK E&S(95만㎾), 현대산업개발(92만㎾) 등으로 이 가운데 GS-EPS, 대우건설 등이 약속을 지키지 않은 만간 발전사들이다.
이처럼 전기수급에 큰 피해를 끼쳤던 업체들이 6차 계획에 대거 참여한다는 점에서 악순환이 우려된다고 박 의원은 질타했다.
박 의원은“특혜성 사업인 전력수급계획에 참여했다가 약속을 지키지 않는 민간발전사에게 아무런 제재수단이 없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강력한 제재수단을 만들고 마치 ‘아파트 딱지’처럼 프리미엄을 붙여 거래하는 사업권 양도양수를 제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