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부가 추진한 경쟁제한적 20개 규제 개선방안> |
'선심성' 대책 홍보에만 분주하고 실질적 완화 해결에는 미온적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7일 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규제정비종합계획을 통해 창조경제·투자활성화 저해 및 국민 불편을 초래하는 규제 595건에 대해 완화·폐지를 선언했다. 하지만 지난해 말까지 틈새 규제를 완화하겠다던 각 부처의 과제별 추진계획은 여전히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새 정부 출범 이후 경제활성화를 위한 경쟁제한적 규제 개선방안을 확정하고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와 함께 의료폐기물 처리시설 설치지역 확대(교육과학기술부), 열병합발전소의 유기성 오니 사용 허용(환경부), 막걸리 판매용기 제한 완화·소규모 맥주제조자 영업장 외 시음회 실시 허용(국세청) 등 20개 규제를 풀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공정위의 액션 행보에도 불구하고 경제 각 부처들의 칸막이는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제껏 해결된 틈새 규제 완화는 총 20개 과제 중 12건에 불과하다. 지난해 풀렸어야 할 틈새 규제와 올해까지 예정된 나머지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틈새 규제는 작지만 서민과 영세기업 등의 피부에 와닿는 정책들이다. 전통주를 우체국 홈페이지 등 인터넷에서 구매할 수 있게 했고, 구매 한도도 1인당 종전 하루 50병에서 100병까지 허용하는 등 기업의 단체구매 불편 및 영세 전통주 시장의 활성화를 해결한 성과는 틈새 규제 완화의 대표적인 사례다.
간장·막걸리에 사용이 가능해진 사카린의 허용범위 확대도 당뇨 및 비만 환자가 늘어나는 현실을 감안하면 기업환경 개선과 소비자 부담 완화를 동시에 해결한 예다.
국세청, 교육과학기술부, 인천국제공항, 환경부 등 각 부처별로 경쟁제한적 규제 개선방안 해결에 나름대로 몰두하고 있지만 규제 완화와 반대의 양론이 팽팽하게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게 문제다.
정부 관계자는 "이미 완화됐어야 할 규제가 정부 부처간 이견보다는 전문가·시민단체 등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에서 반대 입장이 좁혀지지 않아 난항을 겪고 있는 건 사실"이라며 "각 부처별 경쟁제한적 규제 완화는 시행규칙 개정에 이미 포함돼 있는 만큼 다른 개정안들과 함께 묶어서 상반기에 해결토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