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美 분쟁지역 광물 사용 규제에 당혹

2012-02-19 17:00
  • 글자크기 설정

-미, 7월 아프리카 분재지역 광물 사용 전면 금지<br/>-미국 업체에 부품을 조달하는 외국기업도 동일하게 적용<br/>-국내 전자·자동차업계 대미 수출 '빨간불'…대책 마련 부심

(아주경제 김형욱·김병용·이혜림 기자) IBM 등 미국 주요 전자·IT기업이 최근 삼성·LG와 같은 국내 협력 업체에게 '분쟁광물(Conflict Mineral)' 사용 여부를 확인했다. 미국 정부가 올해부터 콩고 등 분쟁국가에서 생산되는 주석·탄탈륨 등을 규제키로 한 것에 따른 후속조치다.

이들 광물은 주로 전자제품에 사용되지만 전자장비의 탑재 비율이 높은 자동차도 예외가 아니다.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기업에 악재가 될 전망이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올해 7월 아프리카 주요 분쟁지역의 광물을 자국 제품에 쓰지 못하게 하는 법률을 시행한다. 지난 2010년 7월 미국 상원에서 통과된 금융규제개혁법안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것이다.

이 법안은 콩고·우간다 등 아프리카 9개 분쟁국가에서 생산한 탄탈륨·텅스텐·주석·금 등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분쟁광물로 불리는 이들 광물 판매 대금이 반군의 무기구입자금으로 쓰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미국의 모든 상장 제조업체들은 분쟁광물 사용여부를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보고하고 의무적으로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미국 기업에 부품을 공급하는 외국 업체들에 대해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G3T광물은 인쇄회로기판(PCB), 회로부품 등 전자제품의 주요 원료로 사용된다. 특히 콩고의 비중이 높다. 탄탈륨은 세계 3위, 주석은 세계 6위의 생산국이다.

전자업체들의 피해가 예상되는 이유다. IBM 등 미국 기업들은 최근 삼성·LG 등 국내 협력 업체들에게 분쟁광물 사용 여부를 확인한 상태다.

전자업계도 서둘러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삼성·LG·대우일렉 등 6개사는 지난해 11월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 주최로 대책회의를 갖고, 미국 상황과 각 사의 대응방안을 공유했다.

삼성·LG 등 대기업들은 이날 회의를 바탕으로 협력업체들에게 공동설문지를 제작, 배포했다. 이들 업체의 규제광물 사용 현황을 파악하고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수집된 자료가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게 KEA 측의 설명이다. 협력업체 중 상당수가 관련 내용을 모르고 있는 곳이 많기 때문이다.

류원경 KEA 환경에너지팀 대리는 "수많은 벤더와 위탁제조사를 활용하고 있는 전자업체의 경우 자사제품에 쓰인 광물의 원산지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고 전했다.

공급망 역추적을 통해 파악하기에는 최소 10번 이상의 중간단계를 거쳐야하는 전자업체의 복잡한 공급망이 이유라고 그는 설명했다.

국내 자동차 업계도 대응에 나섰다. 현대·기아차는 자체 조사를 벌인 결과 분쟁광물을 직접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했다. 협력업체의 경우 상황이 다르다.

중소부품업체 관계자에게 분쟁광물에 대해 묻자 "처음 듣는 얘기"라며 "(현대·기아차의) 가이드라인이 나오는 대로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주무부처인 지식경제부는 현재 개별 업체들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지만, 뚜렷한 정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