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이후, 아파트 침체에 수도권 전셋값 대폭 ‘상승’

2011-09-06 18:37
  • 글자크기 설정

3년간 20% 가까이 올라, 동탄 77.64% ↑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미국발 금융위기로 전세계가 타격을 받았던 지난 2008년 이후 수도권 매매시장과 전세시장이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끈다.

6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 2008년 9월 12일부터 2011년 9월 6일까지 수도권 시세를 조사한 결과 매매가변동률은 -4.54%를 기록한 반면, 전세가격은 19.94%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매매시장에서 가장 큰 낙폭을 기록한 곳은 경기 동두천시로 3년동안 17.28%나 떨어졌다. 2006년 12월 경원선 복선전철 개통과 미군기지 이전 호재로 2007~2008년 상승세를 보였던 동두천시는 이후 하락을 거듭했다.

미분양 물량 적체와 중대형 아파트 하락세가 지속되던 용인시와 고양시도 각각 -14.20%, -12.93%의 매매가변동률을 보였다.

신도시에서는 1기 신도시 리모델링 수직증축이 불허와 2기 신도시 보금자리주택 공급 본격화 등으로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파주운정(-15.77%), 분당(-12.59%), 일산(-12.56%), 김포한강(-11.25%,) 평촌(-9.37%)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인천에서는 각종 개발사업이 지연된 송도국제도시가 위치한 연수구가 -10.79%의 매매가변동률을 나타내며 집값 하락을 주도했다.

송도국제도시의 각종 개발사업 지연으로 집값 하락이 컸던 연수구가 -10.79%를 기록했다.

서울은 글로벌금융위기 직전까지 상승세를 주도했던 도봉구(-6.98%)를 비롯해, 강서구(-4.46%), 강남구(-4.22%) 등이 크게 하락했다.

전세시장은 동탄신도시가 3년간 무려 77.64%나 급등하며 가장 높은 전세가변동률을 기록했다. 2007~2008년 입주가 몰렸던 이 지역은 재계약이 이뤄지면서 전세시세가 큰 폭으로 조정된 바 있다.

경기는 화성시(41.34%), 과천시(40.19%), 하남시(34.13%), 용인시(32.73%), 오산시(32.58%) 등 남부권 지역의 전세가격 상승폭이 높았다.

서울에서는 송파구가 40.27%로 가장 많이 올랐으며 이어 강서구(26.74%), 광진구(25.51%) 순이었다.

닥터아파트 이영진 리서치연구소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된 주택시장이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않아 전세로만 수요가 몰리고 있다”며 “거래가 활성화 되지 않는 한 이 같은 추세는 더 장기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