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8년 매각작업 당시 우선협상대상자인 한화그룹의 현장실사를 실력 저지했던 노조가 국민주 매각 방식에 환영의 뜻을 내비친 것이다.
27일 대우조선에 따르면 이 회사 노조는 “공적 자금이 투입돼 회생한 대우조선이 국민주 방식으로 매각하자는 정치권의 주장들에 대해 원칙적으로 동의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어 “매각 방향 논의가 정치권에 유행처럼 지나가지 말아야 한다”며 다음과 같은 원칙을 제시했다.
우선 국가의 장래와 조선업의 미래에 대한 전략적인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노조는 주장했다. “대우조선은 잠수함·구축함 등을 건조하는 방위산업체로써 국가 안보와 직결된 중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며 “매각은 조선 산업의 발전에 대한 국가적인 비전과 전략 속에서 좀더 신중하게 진행돼야 한다”고 전했다.
둘째 노조는 대우조선이 국민주 방식의 매각으로 추진돼야한다고 밝혔다. “대우조선은 재벌 소유의 국내 조선업체들과 당당히 경쟁하며 전문경영인의 적절한 의사결정과 임직원의 혼연 일체의 노력으로 승리해왔다”며 “이같은 성과는 모든 국민이 함께 공유하는 것이 마당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대우조선은 지난 1999년 워크아웃에 들어간 이후 대우그룹 계열사 중 가장 이른 2001년 워크아웃을 졸업했다. 대우조선은 2000년 기업분할 당시 자산규모가 3조2156억원이었던 것이 2010년말 기준 14조1767억원으로 4배가량 성장했다.
마지막으로 노조는 구성원들의 입장을 수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는 초당적으로 대우조선 매각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서도 “아직까지 전 구성원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는 노조와는 어떠한 논의조차 없는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김성철 대우조선노조 정책기획실장은 “노조는 대우조선의 바람직한 매각을 위해 정치권, 언론, 시민연대, 지역민과 함께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대우조선 국민공모 방식은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지난 13일 청와대 이명박 대통령과의 오찬 자리에서 처음으로 거론했다.
국민공모란 정부가 관리 중인 대규모 공기업의 지분을 매각하면서 국민 각계각층에 주식을 골고루 나눠주는 것이다. 주주가 된 국민은 나중에 기업의 가치가 올라가면 이익을 분배받을 수 있다. 국내에서는 1988년 포스코가 첫 국민주로서 이름을 올렸고 이듬해 한국전력 주식이 국민주로 공급됐다.
하지만 청와대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백용호 청와대 정책실장은 지난 25일 열린 당처 정책협의회에서 “지금까지 국민주 방식은 포스코처럼 비상장회사를 신규 상장할 때 사용했던 방법”이라며 “대우조선처럼 이미 상장돼 있는 회사의 주식을 국민주 방식으로 매각하는 경우는 없었다”고 부정적인 젼해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