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26일 "일부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경영진단을 3주 연장한다는 얘기는 사실과 다르다"며 "부실 우려가 높은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1,2차로 나눠 추가 경영진단을 하는 것은 더욱 아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자산규모가 1000억원 정도 되는 저축은행과 수조원이 넘는 저축은행의 경영진단 기간이 같을 순 없는 노릇"이라며 "규모가 큰 만큼 들여다 볼 내용도 다양하고 많아 경영진단 기간이 길어지는 것일 뿐이다"고 강조했다.
85개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8월말까지 경영진단이 이뤄지는 방침은 변함이 없음을 확인해 준 것이다.
현재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금융당국이 부실 저축은행을 겨냥해 추가 경영진단을 벌이고 있다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일부 저축은행에선 경영진단을 담당했던 금융감독원과 예금보험공사, 회계법인 등의 인력이 철수해 이런 불안감을 뒷받침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난 5일부터 경영진단을 하던 금융당국 인력들이 현재 어떤 저축은행은 다 철수한 반면 또 다른 저축은행에선 일부 남아있어 혼란스럽다"면서 "지난 22일 이후를 기점으로 부실 우려가 큰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2차 경영진단이 이뤄지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경영진단이 너무 엄격하게 이뤄지는 것도 업계의 불안감을 키우는 요인이다. 예컨대 연체가 없는 정상여신이라도 시행사가 부실할 경우 추가적으로 대손충당금을 쌓을 것을 요구함에 따라 저축은행 업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이 같은 조치가 하반기 구조조정에서 옥석을 제대로 가리기 위한 필수 불가결한 일이라는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영진단이라고 하는 것은 말 그대로 저축은행 경영에 있어 최악의 상황도 전제하고 이를 대비하기 위해 이뤄지는 것"이라며 "현재 경영진단 상 여신 건전성 분류를 하며 중간중간 업계와 의견조율을 해 큰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금감원은 경영진단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뒷말이 나오지 않도록 신응호 금감원 부원장보가 이끄는 '순회지도반'과 베테랑 검사역이 주축이 된 '질의응답반'을 운영하는 중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애초 85개 저축은행의 전수조사를 나선 것도 특정 저축은행만 경영진단을 했을 경우 부실 저축은행으로 낙인찍혀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컸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최종 경영진단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이 같은 피해를 입는 저축은행이 나오지 않도록 합리적인 기준과 원칙대로 (경영진단을)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