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국회사무처 의회외교정책과에 따르면 다른 나라와의 원활한 외교활동을 위해 각 나라별로 의원들을 배정해 놓고 그 나라의 원수나 귀빈들이 방문하면 배정된 의원들이 영접에 나선다. 또 특정나라와 현안교류가 필요할 경우 배정된 의원을 중심으로 예방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여야를 포함해 다수 의원은 자신이 어느 외교협의회, 친선협회에 속해 있는지 모르고 있는 것으로 취재결과 드러났다. 국회에 따르면 의원들의 각 나라 선정은 의장, 교섭단체의 협의하에 각 당에서 의원들의 의견을 반영해 당 추천을 받아 선정하게 돼 있다.
이와 관련 의원실 관계자들은 “전문분야나 관심과는 상관없이 의석 배분에 따라 당이 차지해야 하는 비율이 있는데, 아무도 원하지 않는 국가의 경우 어쩔 수 없이 한 의원이 복수의 국가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어느 나라 협회 소속인지 모르는 다른 의원실 관계자는 “의원의 의지대로 선정하지 않고 당이 일방적으로 결정해 통보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민주당 원내행정국 관계자는 “18대 국회 시작할 때 각 의원실에 물어 신청한 곳을 위주로 배치했다. 이미 정원이 꽉 찬 나라는 각 의원들간 조율에 따라 바꾸기도 했다”고 반박했다.
협의회의 내부운영도 엉망인 것으로 드러났다. 일정한 지휘체계가 없어 의원간 협의나 협조가 불편하다는 지적이다.
한 의원실 관계자는 “국가의 중요한 행사 유치를 위해 해외귀빈이 우리나라에 내방했는데 소속 친선협회 의원들에게 협조를 구했지만 한분도 행사에 오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권오을 국회사무총장은 이와 관련, “의원들이 국가(한·일, 한·태 친선협회) 등을 선택하면 각 당 원내대표실에서 의원님들 배정을 한다. 명단이 넘어오면 우리는 정리·관리만 하지 배치는 사무처에서 안한다. 우리는 정리를 해놓을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의원들도 자기가 어디가 소속돼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실제 해마다 의원외교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위원장 되시는 분들은 어느 위원회라는 걸 알지만 일반적으로 소속돼 있는 경우는 본인도 모르는 경우가 많다. 당에서 일률적으로 배정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형식적 협의회나 친선협회를 폐지하고 자발적인 의원들의 모임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2008년도에 시작한 한·중 문화연구회는 매년 중국을 오가며 중국과의 관계 재정립을 위해 힘쓰고 있다.
한·중 문화연구회 회장직을 맡고있는 한나라당 구상찬 의원은 “우리 연구회는 중국문화에 관심이 많은 의원들이 여야를 초월해 자발적으로 구성한 모임”이라며 “정부와 정부의 외교보다는 의회·민간외교 등 외교 다변화를 위해서도 자발적인 연구회가 많이 생겨나야 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