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국내 금융시장의 지역별 쏠림 현상은 국내 경제의 양극화가 원인이다.
서울은 주요 대기업과 산업시설이 몰려 있는 데다 이들 기업이 막대한 이익을 올리고 있어 예금풍년을 누리고 있다. 돈이 넘치는 만큼 대출 수요도 크지 않다.
반면 지방은 지역 경제가 쇠퇴해 돈이 제대로 돌지 않아 대출로 연명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3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서울 지역의 예대율은 지난 6월 말 현재 91.07%로 당국의 예대율 권고치 100%를 10%포인트 가까이 밑돈다.
서울의 예대율은 지난해 12월 102.50%에서 올 1월 97.49%로 떨어진 뒤 2월 95.58%, 3월 95.42%, 4월 95.58%, 5월 92.07%로 하락 추세다.
서울의 예대율이 하락하고 있다는 것은 지역내 자본 공급이 대출 수요를 앞지른다는 의미다.
반면 지방의 예대율은 6월 말 현재 147.81%로 서울에 비해 56.74%포인트나 상회한다. 지난해 7월의161.12%보다는 상황이 개선됐지만 여전히 절대치 자체가 높다.
지방은 서울과 반대로 예금 여력이 충분치 않으며, 자본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상황이다.
도건우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서울은 투자처가 마땅치 않고 주택경기마저 침체돼 대출 수요는 위축됐다"며 "투자처를 실종한 시중자금은 은행예금에만 집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 수석연구위원은 또 "지방의 경우 지역 경제가 초토화된 지 오래라 예금할 여력조차 없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문제는 지방 경제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어 향후 전망도 어둡다는 점이다.
국제통화기금(IMF)·기획재정부·한은 등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5.6~6.0%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부산·대구·광주 등 주요 광역시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3.3~3.9%에 그칠 전망이다. 이들 도시는 최근 10년새 한국의 경제성장률보다 낮은 성장세를 이어왔다.
올 상반기 서울의 예금이 60조1507억 증가하는 사이 부산과 대구의 예금은 각각 2조6170억원, 1조8743억원 불어나는 데 그쳤다. 광주는 6096억원 늘었다.
결국 각 지역 경제의 저성장이 예금축소-대출환경 악화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기업들의 업황이 개선되고 있는 만큼 하도급 기업을 지원하는 등의 중소기업 육성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김상조 한성대학교 교수는 "거시경제 지표가 회복되고 있지만 대기업에 국한된 이야기로 서울과 지방 간 양극화는 심화되고 있다"며 "지방경제의 경우 예금할 여력은 없고 당장 버티기 위해 대출을 받는 사례가 다반사"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서울, 지방 간 양극화가 심화되는 것은 구조적인 문제로 하도급 거래를 정상화하는 등의 근본적인 해법을 제시해 지방 및 서민 경제를 활성화해야 금융시장도 정상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