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원 동양종금증권 연구원은 "일부언론이 CMA-CGM이 1년 간의 지불유예(모라토리엄)를 선언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지만 공식적인 발언은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달 29일 CMA-CGM은 홈페이지를 통해 자사 유동성 문제 해결을 위해 프랑스, 유럽, 한국 등의 은행들로 이뤄진 위원회를 구성하는데 합의했고, 지금까지 진행해 온 신조선계약 협상, 일부 선박의 발주취소 작업을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내 조선소 수주잔고에 남아있는 물량은 모두 43척으로 현대중공업이 9척, 대우조선해양이 8척, 삼성중공업이 5척, 현대미포조선이 6척, 한진중공업이 3척, 한진-수빅이 12척이다.
이 연구원은 "수주잔고 총 43척 중 내년 이후에 인도될 예정으로 아직 공사에 착공하지 않았거나 공정이 많이 진행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선박은 모두 31척이다"며 "최악의 경우 신조선 발주에 대해 대규모 계액 불이행 사태가 발생하면 미착공 선박이 우선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유사한 사례에 비춰볼 때 극단적으로 귀결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며 "비슷한 처지에 있던 독일의 CSAV, HAPAG-LLOYD, 이스라엘 ZIM처럼 이해 관계자들의 원만한 합의를 통해 유동성 지원을 받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아주경제= 김용훈 기자 adoniu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