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전 10시 대전시 유성구 문지동 KAIST 문지캠퍼스 본관 앞. 흰색 바탕에 녹색으로 빌딩 모양을 그려넣은 버스가 들어서자 기다리던 취재진 30여명 중 일부가 탄성을 질렀다.
말로만 듣던 '온라인 전기버스(OLEV)'를 이날 공개시연회에서 처음 보는 순간이었기 때문.
이는 대용량 배터리가 달려 있지 않기 때문이었다.
취재진을 실은 온라인 전기버스는 KAIST 문지캠퍼스 본관을 떠나 부속동 건물까지 갔다가 다시 본관 앞으로 돌아오기까지 왕복 1㎞ 구간을 시속 10㎞의 속도로 달렸다. 전력장치의 열을 식히려고 돌아가는 팬(선풍기)의 소리가 들릴 뿐 시내버스 안이라면 으레 들리기 마련인 엔진 소음은 거의 들리지 않았다.
연구진의 설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의 최고 속도는 시속 104㎞ 정도. 일반 시내버스의 평균 속도가 80㎞ 정도라는 점을 고려할 때 속도 면에서도 일반 버스에 뒤질 게 없다고 한다.
그럼 이 버스는 엔진도, 축전지도 없이 어디서 에너지를 얻어 달릴 수 있는 걸까.
온라인 전기자동차 사업단장 조동호 교수는 취재진의 질문에 "기존의 전기자동차는 배터리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무게도 많이 나가고, 또 충전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 상용화되기 어려웠다"면서 "온라인 전기차는 도로 밑 충전 인프라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를 미리 충전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도로 밑에 전선을 묻어놓은 뒤 전류를 흘리면 여기서 만들어진 자기장이 온라인 전기차로 무선 송신되고, 온라인 전기차는 다시 이 자기장을 전기에너지로 바꿔 사용하는 원리라는 것이다. 전선을 묻어도 외관상으로는 일반 도로와 다를 게 없다고 한다.
조 교수는 "온라인 전기차는 도로 밑 충전 인프라에서 자동차 하부 집전장치로 에너지가 전달될 때 전기가 아닌 자기 형태로 전달되기 때문에 감전될 우려가 없다"면서 "게다가 모노레일처럼 레일 위에서 운행되는 것이 아니므로 탈선할 위험도 없다"고 말했다.
이 충전 인프라의 용량만 충분히 확보하면 전기버스를 무한대로 운행할 수 있다는 것. 일반 차량도 집전장치만 달면 같은 도로 위에서 전기에너지로 달릴 수 있다는 게 조 교수의 설명이다.
KAIST는 최근 서울시, 대전시와 '온라인 전기버스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본격 개발에 착수했다.
서울시는 11월부터 경기도 과천시 서울대공원의 코끼리열차 운행구간(2.2㎞)에서 온라인 전기버스 1대를 시범운행할 계획이고, 대전시도 온라인 전기버스가 상용화되면 기존 시내버스 대신 운행할 수 있는 시범사업 구간을 선정할 방침이어서 조만간 일반 시민에게 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조 교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사업을 앞으로 30년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비용대비 편익이 5.79배로 예측됐으며 국가 차원의 순이익은 79조4천억원으로 파악돼 경제적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또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국제적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