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자합의 없다"…G7, 강달러 대응 공동조치 없어

2022-10-17 18:19

달러 [사진=AFP·연합뉴스]



강달러로 고통받는 선진국들이 주요 7개국(G7) 차원의 공동 개입 방안을 모색했으나 1985년 ‘플라자합의’와 같은 구체적인 계획까지는 이르지 못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6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 차 만난 G7 재무 장관들은 지난 12일 성명을 통해 “최근 (환율 시장의) 변동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며 과도한 환율 변동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약속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이런 경고는 엔화 가치 하락을 막지 못했다.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상은 13일 기자회견에서 "많은 국가가 글로벌 긴축정책의 파급효과(spillover)를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데 동의했지만, 이에 어떤 공동 조치를 취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고 말했다.
 
앞서 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은 지난 11일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경제가 잘 하고 있다며 강달러 현상에 대한 지지성 발언을 한 바 있다. 옐런 장관은 “시장에서 결정되는 달러 가치는 미국의 이익에 부합한다”며 "달러화의 움직임은 (각국의) 서로 다른 정책 기조에 따른 논리적 결과"라고 말했다.
 
또한 강달러로 신흥국의 경제 부담이 커진다는 지적에는 "달러 강세는 (미국의) 적절한 정책을 반영하는 것"이라며 “달러가 안전자산인 만큼, 불확실한 시기에는 안전한 미국 시장으로 자본이 유입된다"고 했다.
 
지난 1985년에는 달러 가치가 급등하자, 프랑스, 일본, 영국, 미국, 서독 등 5개국은 미국 뉴욕에 있는 플라자 호텔에서 외환시장 개입을 통해 달러화 강세를 시정하기로 했다. 합의 이후 달러는 12개월 동안 가치의 약 25%가 급락했다.
 
로이터는 “현재 미국이 그런 종류의 합의를 설계하는 데는 관심이 없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은 강달러로 인한 고통을 완화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며 “일부 신흥국들은 경제 성장을 냉각시키는 대가를 치르더라도 자국 통화를 방어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해야 했다”고 짚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산자야 판스 아시아태평양 부국장은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아시아의 경제 상황은 20년 전과 매우 다르다”며 “일부 국가의 부채 수준이 높아지는 것이 우려된다. 어떤 형태의 시장 스트레스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로이터는 엔화 약세가 끝날 기미가 안 보인다고 했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가 최근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하겠다고 거듭 밝히는 등 BOJ가 매파로 선회하지 않는 이상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엔화 가치는 17일 오후 5시 55분(한국시간) 기준으로 달러당 148.70엔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14일에는 32년래 최고치인 148.86엔을 기록하는 등 엔화 가치는 무너지고 있다.
 
마사토 칸다 재무성 재무관은 17일 기자들과 만나 엔화의 지나친 변동성이 계속된다면 “언제든지 단호한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BOJ의 비둘기파 기조로 인해 엔화 움직임을 완화하는 것조차 도전이 될 수 있다고 로이터는 짚었다.
 
미쓰비시 UFJ 모건스탠리 수석 외환전략가 다이사쿠 우에노는 "단독 개입으로 엔화 하락 추세를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엔화 가치가 달러당 150엔까지 추락하면 하락세가 어디서 멈출지 예측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