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싱글족 500만 시대…20·30대 ‘주거’, 60대 이상 ‘소득’ 불안”

2015-08-16 15:12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고령화, 저출산 등 사회구조 변화로 싱글족(1인 가구)이 급증하고 있지만 그만큼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세대가 늘고 있다.

문제는 같은 1인 가구더라도 연령대별로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가 다르다는 것인데, 20·30대 젊은층들은 주로 높은 전·월세값에 따른 주거비 부담을, 60대 이상 고령층은 고용불안에 따른 소득감소가 큰 문제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6일 발표한 ‘1인가구 경제적 특성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1인가구는 2000년 226만 가구에서 2015년 506만 가구로 2배 이상 증가했다. 2035년에는 763만가구로 증가해 전체가구의 3분의 1 이상(34.3%)이 1인가구가 될 전망이다.

1인 가구는 2인 이상 가구보다 중위소득 50% 이하 저소득층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작년 기준 1인가구 저소득층 비중은 45.1%로 2인 이상 가구(10.9%)보다 훨씬 높다. 중위소득 150%를 초과하는 고소득층 비중은 1인가구가 13%에 불과했으나 2인 이상 가구는 25.7%로 집계됐다.

특히 저소득층 1인가구는 60세 이상 독거노인에 집중됐다. 20·30대 1인가구 저소득층 비율은 17.2%였으나 60대 이상 1인가구 저소득층 비율은 66.7%에 달했다. 독거노인가구 3곳 중 2곳은 저소득층이다.

60세 이상 1인가구 비중은 2000년 31.3%에서 2015년 34%, 2035년 53.7%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같은기간 20대 1인가구 비중은 23.3%에서 10.6%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미혼자 평균 혼인연령 증가와 이혼률 상승에 따른 1인가구도 급증하고 있다. 특히 여성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20·30대 비중의 증가폭이 컸다. 1인가구 중 여성 비중은 2010년 66.1%에서 2014년 69%로 증가한 반면 남성은 33.9%에서 31%로 하락했다.

보고서는 “여성 평균 초혼연령이 상승했고, 저출산 및 이혼증가의 시대적 현상이 맞물린 현상이다”고 분석했다. 20·30대 여성 1인가구는 2010년 41%로 남성(59%)보다 적었으나 2014년에는 50.9%로 남성보다 많아졌다. 반면 60대 이상 1인가구에서 여성 비중은 2010년 84.2%에서 2014년 81.8%로 소폭 하락했다.

1인가구 소비성향도 연령대별로 차이가 났다. 1인가구 전체 평균소비성향은 2010년 68.3%에서 2014년 73.4%로 증가했다. 이 기간 20·30대는 66.1%에서 73.6%로 40·50대는 57.7%에서 64.7%로 각각 평균소비성향이 증가했으나 60대 이상 1인가구는 90.5%에서 84.5%로 하락했다.

지난해 기준 60대 이상 1인가구 월 가처분소득은 84만원으로 20·30대(193만원), 40·50대(201만원)보다 훨씬 작았다. 60대 이상 1인가구는 일용직, 영세자영업자 비율이 높아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에 60세 이상 1인가구는 소득에서 식료품 등 필수소비재 이외 소비활동이 어려운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1인가구 엥겔계수(소비에서 식료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작년 기준 60세 이상이 23.6%로 20~30대(8.5%), 40~50대(13%)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20~30대 1인가구는 전월세 등 주택 임대료 부담이 가중되면서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0년~2014년 20·30대 1인가구 전세보증금은 연평균 8.3% 증가해 40·50대(5.5%), 60세 이상(1.9%)보다 높았다. 월세도 지난해 1인가구 기준 20·30대가 28만원으로 40·50대(24만원), 60세 이상(17만원)보다 높았다.

보고서는 이런 변화에 대비해 △가족구조 변화에 부합한 주택·복지정책 △고령층 재취업 일자리 및 공공근로사업 확대 △20·30대 1인가구 주거여건 개선 △1인가구 맞춤상품 및 서비스 개발·보급 등을 정책대안으로 제시했다.

김광석 현대경제연구원 산업연구실 선임연구원은 “1인가구 증가추세를 반영해 현재 3~4인 가구 중심으로 편중된 가족정책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최근 급증한 20·30대 여성 1인가구, 저소득층 및 독거노인가구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