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까지 융합기술 R&D 인력 4만6000명 육성
2014-03-03 12:03
범부처 국가 융합기술 발전전략 마련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정부가 2018년까지 5년간 4만6000명 수준의 융합기술 연구개발(R&D) 인력을 육성하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범부처 국가 융합기술 발전전략이 지난달 27일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융합기술은 국제동향에 맞춰 나노(NT), 바이오(BT), 정보통신(ICT), 인지과학(CS) 기술간 융합된 기술과 기술성격상 융합기술 범주에 포함되는 문화기술(CT), 에너지·환경기술(ET)을 의미한다.
국가융합기술 발전전략은 구체적으로 경제성장과 국민행복을 의미하는 고성장스마트 기술, 미래융합기술, 건강한 삶, 지속가능한 생활, 걱정 없는 안심사회 등 5대 기술·미래상을 5년내 구현하기 위한 5대 전략, 21개 범부처 추진과제를 담고 있다.
기술개발 관점에서는 과학분야 최상위 계획인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120개 전략기술 가운데 빅데이터, 차세대반도체, 융합형콘텐츠, 스마트자동차, 융합서비스로봇, 차세대다기능소재, 건강관리서비스, 유전체정보이용 및 신약개발, 신체기능복원 및 재활, 온실가스 저감 및 관리, 오염물질 제어 및 처리 기술, 신재생에너지, 식량자원보존 및 식품안전성평가, 재난재해예측대응 등 융합기술을 분류하고 국내 기술수준, 5년 후 기술 수준 목표, 세부 기술, 연구개발(R&D) 주도 주체 등에 대한 분석을 제시했다.
전략은 우선 미래유망 원천기술 개발 및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해 시장 선점 및 신산업 창출 융합기술, 고위험-고수익형 기술, 기존 연구개발 결과 중 우수기술 등 미래성장을 견인할 융합원천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이종기술간 융․복합을 통한 신기술․신제품 등 신성장 동력 창출에서 나서기로 했다.
미래전 대비를 위한 융합기술 개발을 위해 민군 겸용기술 뿐 아니라 민간 우위 기술의 군용 활용으로 협력도 확대한다.
단기간 개발․사업화하고 10년 내 관련 신산업 창출을 도모하는 신산업 창조 프로젝트도 본격 추진한다.
R&D 전문관리기관의 기능 강화, 기술컨설팅 지원 확대, 인큐베이팅 R&D 확대 등 기술사업화 역량 확보를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농수축산업, 관광 등 기존 산업에 융합기술을 접목해 생산업 향상 및 부가가치 창출을 극대화하기로 했다.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융합기술연구도 본격 추진해 창조경제 포털 등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형 R&D 과제를 발굴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융합기술 콘테스트(가칭)를 열어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로 했다.
사회적 약자나 질병․물부족 등 개도국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적정기술 개발도 확대한다.
온실가스, 황사, 미세먼지, 적조, 나노안전성 연구 등 글로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공동연구를 강화하고 기술개발 뿐만 아니라 사회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관련 법․제도․인프라의 일괄 개선을 추진한다.
인문학과 과학기술과의 융합 확대를 위해서는 인문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감정․행동 등 인간관점을 반영한 창의적 융합기술개발을 지원한다.
경제․인문사회 분야 출연연과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융합 연구과제도 추진한다.
나노, 바이오 등 대표적 융합기술이 안전성, 생명존엄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융합기술영향평가제도를 도입하고 과제 기획․평가 등에 인문․예술 등의 전문가 참여를 확대하는 한편 인문학과 과학 전문가가 공동 참여하는 협동연구 및 협력체계를 활성화할 예정이다.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에도 나서 향후 2018년까지 5년간 4만6000명 수준의 융합기술 R&D 인력 부족 해소를 위해 융합인력을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융합인재교육(STEAM), 미래형 과학교실 설립, 융합영재교육원 및 융합영재고 신설 등을 통해 미래 융합인력을 양성한다.
비즈니스 마인드를 가진 과학기술 전문가를 집중 양성하고 새로운 융합트렌드에 대응하는 융합인력 재교육도 강화한다.
융합 인프라 고도화를 위해서는 R&D 역할 분담, 공동 추진 등 부처간 융합 관련 상시 협의체를 운영하고 융합기술의 체계적 발전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로 했다.
나노팹 개선방안 수립 등 융합연구 인프라를 지속 보완․개선하고 KIST 융합연구정책센터를 통해 융합정책을 선도하고 범부처 협의회를 지원하는 융합연구 싱크탱크도 육성․지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