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굴의 DNA, 다시뛰는 건설업계> 돈줄은 생명줄, 금융권 자금지원 절실

2014-01-06 18:24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채권단의 자금지원 여부에 따라 회사의 향방이 좌우되는 경우는 이제 다반사가 됐다. 건설업계 역시 이 같은 경우가 빈번해지면서 장기 침체 속에 생사의 기로에 놓인 건설사들은 금융권의 눈치를 살피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지난달 30일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중이던 쌍용건설은 채권단의 추가지원 불발로 결국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카드를 꺼내들었다. 앞서 우림건설, 풍림산업 등도 같은 사유로 법정관리 절차를 밟았다.

금융업계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손실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사업 타당성 등을 꼼꼼히 따져 자금지원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심사다. 이에 건설사들은 자산매각을 통한 유동성 확보, 조직개편 등의 자정노력을 통해 금융권에 대한 '구애작전'을 펼치고 있다.

◆ 금융권, 날선 자금지원

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법원의 쌍용건설 법정관리 인가 여부가 이르면 이번주 초 결정될 전망이다. 지난해 6월 워크아웃에 돌입한 쌍용건설은 채권단으로부터 출자전환 5000억원(또는 3800억원)과 신규자금 3000억원을 지원받아 정상화를 꾀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우리은행 등 쌍용건설 채권단은 군인공제회의 가압류(1200억원 규모)와 건설경기 악화를 이유로 자금지원에 난색을 표했다. 워크아웃 당시 결의한 4450억원의 자금지원 가운데 1250억원도 미지급한 상태다.

이를 두고 기업 정상화를 고민해야 할 채권단이 자금지원보다는 채권 회수에만 혈안이 돼 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2009년 4월 워크아웃에 돌입한 우림건설과 풍림건설도 꾸준히 신규사업을 수주하는 등 워크아웃 조기 졸업 기대감을 높였으나, 채권회수를 마친 일부 금융사가 자금지원안을 거부하면서 상황이 반전됐다. 자금을 회수한 금융사의 경우 신규부채를 발생시킬 이유가 없다는 이유로 자금지원을 거부한 것이다.

채권단을 구성하는 은행들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함께 불거진 PF 대출 손실을 충담금 적립 등을 통해 해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잔액이 많다"고 항변한다. 따라서 건설사 자금지원에 인색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11월 국정감사 당시 금융감독원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18개 은행의 최근 10년간 부동산 PF사업 대출에 따른 손실은 7조735억원에 달한다. 총대출금은 71조5604억원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부동산시장에 대한 전망이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투자 및 지원을 할 수는 없다"며 "사업 타당성 및 재무건전성 등을 면밀히 고려해 자금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 건설업계 "자구책 모색 한계 있어"

금융권의 자금지원이 까다로워지자 건설사들은 스스로 살아날 방법을 찾아나서고 있다. 빌딩 및 자회사 지분 등의 자산을 매각하거나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순탄치 못한 경우가 허다하다.

대우건설은 지난달 4일 사업본부 핵심역량 강화 등을 목적으로 조직개편을 실시했다. 기존의 5부문 10본부 6실 1원에서 부문제를 폐지하는 등 조직 슬림화에 초점을 맞췄다.

대신 매출비중이 커지는 해외사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해외지원실을 신설하고 리스크 관리기능을 강화했다.

동부건설은 지난해 10월 서울 동자동 오피스빌딩을 3616억원에 매각해 회사채를 상환했다. 또 지난해 10월 큐캐피탈파트너스와 자회사 동부익스프레스 보유지분(50.1%) 전량 매각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하지만 기관투자가들이 동부익스프레스 투자에 신중을 기하면서 지난해 매각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은 무산됐다.

이밖에 남광토건, 우림건설 등 다수의 건설사들이 법정관리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옥을 매각하는 등 자구책을 펼치고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회사채 만기 시기가 두려울 만큼 유동성 확보에 애를 먹는다"며 "사업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자산매각, 조직개편 등을 진행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어 자금지원에 대한 채권단 및 금융권의 전향적인 자세가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