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압력에 亞 신흥국 경제 성장 둔화 조짐

2011-06-01 16:19
소프트패치 과정 vs 장기침체 전조<br/>공조 대응 안 하면 세계 경제 위협

(아주경제 김신회 기자) 인플레이션 압력이 아시아지역 신흥국 경제의 성장세를 둔화시킬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과 인도를 비롯한 신흥국이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 회복을 이끌었던 만큼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일 중국과 인도 등 아시아지역 신흥국 경제가 여전히 왕성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탄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WSJ는 특히 인플레 압력이 이들 국가의 성장속도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례로 인도 경제는 지난 1분기 7.8% 성장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9.4%)은 물론 직전 분기(8%)에 비해 크게 떨어진 수치다. WSJ는 투자 급감과 서비스부문의 성장 둔화가 악재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로버트 프라이어 반데스포르데 크레디트스위스 이코노미스트는 "인도의 경제성장률은 그다지 좋아 보이지 않는다"며 올해 성장률이 7.5%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보다 성장률이 1%포인트나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인도 경제의 성장세가 주춤하게 된 것은 잇딴 금리인상 탓이지만, 인도 정부는 인플레에 대응해 금리인상 기조를 고수할 것으로 내다봤다.

WSJ는 중국과 한국의 경제 성장세도 인플레와 금리인상 압박으로 약화되고 있기는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라울 바조리아 바클레이스캐피털은 세계 최대 자동차시장인 중국의 자동차 수요는 지난 2년 동안 급격히 증가했지만 지난달 증가세가 둔화됐다며, 이 역시 정부의 인센티브 프로그램 중단과 금리인상 등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는 최근 수개월간 경기과열을 막기 위해 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금리를 잇따라 올리는 등 신용시장을 압박해왔다.

문제는 신흥국 경제의 성장 속도가 느려진 것이 일시적인 현상인지, 추세인지 확신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아시아지역의 주요 신흥국 경제의 성장률이 최근 떨어진 것은 해당국 정부가 경기 연착륙(소프트랜딩)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성장률 둔화세가 아직 완만하다는 이유에서다. 이들은 신흥국이 기준금리를 올리고, 은행 대출을 제한하고 자국 통화 가치 상승을 용인하면서 인플레 압력을 통제하면 선진국도 시간을 벌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프레데릭 노이만 HSBC 아시아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신흥국 경제는 소프트랜딩 과정에 있다고 확신한다"며 "제조업 경기의 확장세가 둔화되도 세계 경제 회복세를 주도할 신흥국 경제의 펀더멘털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도 주요 신흥국 경제가 올해 선진국보다 3배 높은 평균 6% 성장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는 만큼 6~7%의 인플레 압력은 용인할 만하다는 주장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다른 한편에서는 경제 성장률 둔화를 부른 신흥국의 인플레를 장기 침체의 전조로 해석하고 있다. 신흥국이 자칫 인플레 압력을 통제하는데 실패할 경우 소비지출과 기업의 투자가 급감해 세계 경제의 동반침체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 최대 채권펀드인 핌코의 모하메드 엘 에리언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FT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고 있는 신흥국이 직면한 가장 큰 위협은 인플레"라며 "신흥국은 인플레 압력에 대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중요한 것은 대응방법으로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이 신흥국 경제의 달라진 위상을 인정하고 공조하지 않으면, 세계 경제는 경기침체 속에 물가가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